대구취수원 이전 이번이 마지막 기회 일 수 있다 ①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 추진 배경
30년 넘게 해결하지 못한 대구취수원 이전 사업. 대구시민들이 갈망하는 이 사업을 해결하기 위해 대구시는 그동안 고군분투를 이어왔으나, 아직까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대구시가 현재 추진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이 취수원 이전을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진단한다. 그 말은 지금 해결하지 못하면 대구취수원 이전 사업은 앞으로도 해결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에 본지는 대구시가 추진해 왔던 취수원 이전 노력과 현재 추진 중인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이 반드시 성공해야 하는 이유를 중점적으로 들여다봤다.
2023년 정부 공식 제안·2024년 환경부 검토로 하루 46만t 취수 결정
낙동강유역물관리위 심의만 남겨 TK 신공항 개항 맞춘 완료 박차
구미 해평취수장 하루 30만t 비해 경제성 높고 수질 식수에 더 적합
글 싣는 순서
①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이란
② 댐의 물이 가장 안전하다
③ 대구 안동댐 취수원 이전⋯지역 상생의 모델이 되다
④(인터뷰)“30년 이상 끌어온 취수원 이전, 지금이 마지막 기회”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 추진 배경
대구시가 취수원을 낙동강 상류 지역으로 이전하려는 이유는 ‘안전한 식수’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낙동강은 경상권 지역의 식수 뿐 아니라 공업·농업 용수까지 담당하고 있다 보니 식수로 적합한가에 대한 문제 제기가 항상 있어왔다. 특히, 지난 1991년 3월 14일 발생한 페놀 유출 사고는 대구시민들에겐 낙동강 식수의 두려움으로 남아있다. 더욱이 1991년부터 2018년까지 대구 취수원 상류에서 발생한 9차례의 유해 화학물질 유출 사고는 대구시민들에게 먹는 물에 대한 불안감을 고착화 시키기에 충분했다. 이에 대구시는 취수원을 낙동강 상류 지역으로 이전하기로 하고 상류 지역들과 논의를 거듭해 왔다. 낙동강 상류 지역으로 이전키로 한 것은 대구의 취수원이 대규모 산업단지와 너무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구시의 취수원 이전 노력은 낙동강 상류 지역의 반대로 번번이 실패해 왔다. 그러다 2021년 장세용 구미시장과 권영진 대구시장이 극적인 합의를 이루면서 그 다음해인 2022년 4월 대구-구미 맑은물 나눔과 상생발전 협정이 체결됐다. 하지만 그해 지방선거에서 새롭게 당선된 구미시장의 반대의사 표명으로 무산되고 말았다. 이에 대구시는 새로운 취수원으로서 안동과의 상생협약 체결을 통해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이란
대구시는 구미 해평으로의 취수원 이전이 무산되자 안동댐으로 이전을 위한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갔다.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은 안동댐 직 하류에서 문산, 매곡정수장까지 약 110㎞의 관로를 신설하는 사업이다. 시는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을 2023년 12월 정부에 공식 제안했고, 2024년 7월 환경부의 기술 타당성 검토를 받아 안동댐 직 하류에서 하루 46만t의 취수가 결정됐다. 약 1조 5000억 원의 사업비가 들어가는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은 현재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의 심의만 남겨두고 있다. 대구시는 안동시와 상생협력으로 추진되는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을 TK 신공항 개항 시기에 맞춰 완료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제성까지 갖춘 ‘맑은물 하이웨이’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에 1조 5000억 원이라는 막대한 사업비가 예상되자 일각에서는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하지만, 이는 단순 논리에 불과하다. 구미 해평으로의 취수원 이전 비용이 초고도 정수처리 시설을 포함해 8000억원에 달하고, 매년 400억 원 이상의 운영비가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은 충분히 경제성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 구미 해평취수장 이전의 경우 하루 30만t(대구 28만 2000t, 경북 성주·고령 1만 8000t)을 취수하지만, 안동댐 이전은 하루 46만t(대구 40만 9000t, 신공항 3만 3000t, 경북 성주·고령 1만 8000t)을 취수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더욱이 수질도 안동댐 직 하류 취수가 구미 해평지역 보다 더 뛰어난 점도 경제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국가물환경정보시스템(2020~2024)에 따르면 안동댐 직 하류의 수질은 BOD(생물화학적 산소 요구량) 0.74㎎/ℓ,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 5.22㎎/ℓ, TOC(총유기 탄소량) 2.95㎎/ℓ 등으로, 구미 해평취수원의 BOD 1.91㎎/ℓ, COD 5.85㎎/ℓ, TOC 4.10㎎/ℓ 보다 낮아 수질 면에서도 식수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간 경제적 가치가 4960억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9년)에 이르며 세계유산으로 등재가 유력한 울산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필요한 수량을 공급하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어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은 문화역사 보존의 경제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사업이라 할 수 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