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암각화 2-고래의 항변: 황폐해져가는 우리 영혼과 정신을 깨우다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5-03-20 19:59 게재일 2025-03-21 14면
스크랩버튼
아홉번째 시집… 68편 4부로 엮어<br/>“삶의 본질을 직시하는데 있어서 <br/>과거와 현재, 일상과 영성의 경계를  <br/>아우르는 통합적 접근” 評
‘지금도 시위 중이다’ 신아출판사 펴냄·손수여 지음·시집

“대관절 사무친 원한을/땅속에 묻고 살았더냐//단칼에 참수형을/당하고도//줄/줄/이/끌려온//영어(囹圄)의/저 몸.”- 손수여 시 ‘무시래기’ 전문

손수여 시인의 아홉 번째 시집 ‘지금도 시위 중이다’(신아출판사)가 출간됐다. 68편의 시가 4부로 나눠 구성된 시집이다.

손수여 시인은 시집 앞머리 ‘시인의 말’에서 ‘결이 곱고 쉬운 시, 나만의 색깔로 그려볼 수 없을까. 홀아비바람꽃이 불러 모은 천상의 화원처럼 얼마나 더 간절해야 향기 글꽃 나도 피울 수 있을까’라고 쓰고 있다.

표제가 ‘지금도 시위 중이다’인 이 시에서, 시인은 삭막해지는 환경 재해 속에서 인류의 생존을 위해 암각화의 고래들이 시위하는 모습을 통해, 황폐해져 가는 우리의 영혼과 정신세계를 지키고자 시를 쓰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시 ‘암각화 2-고래의 항변’의 마지막 구절인 ‘경계를 내려놓고 허구 세월을/ 반구대에서 지금도 시위 중이다’는 이러한 메시지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손 시인의 시 세계는 삶의 본질을 직시하는 데 있어 과거와 현재, 개인과 역사, 현실과 초월적 사유를 넘나드는 깊은 통찰과 사색에 기반하고 있다. 일상과 역사적 경험을 소재로 해, 단순한 단어 나열에 그치지 않고 그 속에서 한국적 정서와 삶의 근원을 탐구하려는 태도가 특징이다.

시 ‘노루 한 마리가’는 아련한 회억이 묻힌 경주 계림과 천년 왕조의 숨결이 일렁이는 반월성을 배경으로 하며, 석굴암과 토함산의 전설을 통해 서라벌의 불국토적 풍경을 묘사한다. 시인은 과거의 흔적을 따라가며 사라진 존재들을 떠올리며, 자연 속에서 시인의 부재를 느끼고 슬픈 노루가 바람의 시를 듣는 장면을 그려낸다.

손수여 시인
손수여 시인

‘홀아비바람꽃’에서는 눈 덮인 땅에서도 피어나는 꽃들과 함께, 사랑하는 이가 없는 봄의 허무함을 표현하며, 자연의 아름다움 속에서도 인간의 감정과 연결됨을 보여준다. 시인은 오랜 시간 숙성된 시를 창작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그리움과 상실, 그리고 회복의 과정을 시로 풀어내고 있다.

김철교 문학평론가는 “손수여 시인의 시 세계는 삶의 본질을 직시하는데 있어서 과거와 현재, 일상과 영성의 경계를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히 개인적 감정 발산에 머무르지 않고, 전통과 역사, 인간과 자연을 아우르며 인간 내면의 진정성을 발견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라고 평했다.

손수여 시인은 한국시학, 시세계를 통해 시로, 월간 문학을 통해 문학평론으로 등단했다. 제4회 도동시비문학상, 제34회 P.E.N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시집으로는 ‘성스러운 해탈’, ‘숨결, 그 자취를 찾아서’ 등 총 8권을 출간했으며, 평론으로는 ‘매헌 윤봉길의 문학사적 위상 조명’ 외 다수를 집필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