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옻 회화’ 세계 개척 채림 작가 초대展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5-03-18 19:30 게재일 2025-03-19 14면
스크랩버튼
‘자연의 노래’ 담은 20여점 전시<br/>경주 라우갤러리31일까지 

프랑스 조형예술저작권협회 회원이자 독창적 옻칠 세계를 개척한 채림 작가의 개인전 ‘자연의 노래’가 오는 31일까지 경주 라우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에서는 ‘자연의 노래’를 주제로 한 옻칠 회화 작품 20여 점을 선보인다.

채림 작가는 옻칠의 순수 회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옻칠 풍경화’와 옻칠과 오브제를 결합한 ‘조형적인 회화’를 병행하고 있으며, 이번 전시회에서는 두 작업을 모두 만나볼 수 있다.

채림 작가는 전통 옻칠인 나전칠기와 같은 전통 공예의 조형미에 착목해 나무에 40여 회의 지난한 수공적 반복 과정을 거쳐 색채와 광택, 질감을 건져 올린다. 옻칠의 농도와 채도에 따라 화면은 천변만화의 표정을 드러낸다. 액체가 번져 흐르듯 유동적인 구성과 바람이 불듯이 속도감 넘치는 붓 터치, 청정한 수면처럼 매끈한 질감, 저 먼 기억 속의 희미한 풍경처럼 몽롱한 파스텔 톤, 안개가 낀 듯 경계가 모호한 스푸마토(Sfumato) 등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채림 작가의 ‘옻 회화’는 20세기 초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유화의 마티에르(mati<00E8>re) 효과를 연상시킨다. 나무에 여러 번 반복한 옻칠에서 생산된 모호한 윤기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스푸마토 기법을 연상시키는 몽환적이고 자극적인 회화성을 지니고 있다. 녹색이나 짙은 푸른색, 붉은색, 검정색을 타고 상승하는 듯한 곡선들은 흡사 초서체로 휘갈겨 쓴 서예의 상승기류를 보는 듯하다.

채림의 작품에는 짙은 녹음의 숲과 조용한 연못이 있고, 어스름한 저녁 풍경이 등장한다. 수줍은 듯 살짝 고개를 내민 야생화들도 볼 수 있다. 들꽃과의 눈인사, 입맞춤에 이어 숲과의 속살거림이 화면을 채운다.

작가는 붓과 물감 대신에 옻칠과 자개, 순은을 사용해 이색적인 풍경화를 만들어 낸다. 평소 숲과 나무를 좋아하는 작가는 모네의 불후의 명작 ‘수련’의 장소로도 널리 알려진 지베르니 정원을 방문하면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그의 작품을 보면 꽃과 열매를 비롯해 호젓한 숲속의 분위기를 차분히 실어내고 있다. 자연을 주제로 한 서양의 회화가 ‘대상지시적’이거나 ‘자아투사적’이라면, 그의 작품은 ‘자연의 관조’에서 오는 ‘맑은 기운’을 오롯이 살려냈다는 점에서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화면 곳곳에 덩굴인지 나뭇잎인지, 또는 나뭇가지인지 뚜렷하지 않은 선들이 서로 교차하고 엉키고 겹치며 미끄러지는 등 여러 표정을 짓는다. 처음에는 아주 작은 것에서 출발해 점차 반경을 넓혀가며 급기야 거대한 흐름으로 바뀐다.

이용우 미술이론가(상하이대학 교수)는 “채림의 ‘옻 그림’은 전통의 뿌리를 튼튼하게 가진, 그러면서 더욱 새롭고 다양한 진화과정에 있다. 그의 예술은 세련된 옻을 다루는 기술, 그리고 보석디자인 기술의 완성도가 뒷받침하는 공예적 전통과 그것을 다시 현대미술과 만나게 하는 적응력이 매우 주목을 끈다”면서 “현대미술이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개념과 물질, 비물질, 행위, 아방가르드의 전복적 가치들이 연대하여 만들어낸 자극적인 퓨전 요리라면 채림의 예술은 옻칠이 빚어낸 감칠맛 나는 시적, 감성적 풍경화”라고 평가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