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조치흠 계명대 동산의료원장 연임 화두는… 글로벌 ‘연구중심·스마트병원’ 도약

등록일 2025-03-17 20:24 게재일 2025-03-18 12면
스크랩버튼
연구인프라 확충·전문인력 양성<br/>국내 최상위권 병원 밑거름 다져 <br/>AI기술 적극 도입·환자교감 확대 <br/>스마트 의료 솔루션 수출도 준비<br/>상반기 비수도권 최초 美 HIMSS  <br/>디지털 수준 평가 인증 ‘6단계’로
계명대 동산의료원 전경. /계명대 동산의료원 제공
계명대 동산의료원 전경. /계명대 동산의료원 제공

“연구중심·스마트병원으로 자리매김해 국내를 넘어 세계 순위권 안에 드는 병원으로 도약하겠습니다.”

조치흠 계명대 동산의료원장은 최근 의료원장 연임 소감으로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이 국내 최상위권 병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성장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의료원장은 지난 2023년 첫 취임 당시 “계명대 동산병원을 전국 10위권 안에 들도록 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으며, 현재 그 목표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조 원장은 “현재 계명대 동산병원의 순위는 전국 12위 정도로 예상된다. 의정갈등만 아니었다면 벌써 10위권 안에 들었을 것”이라며 “하지만 심평원의 요양급여 청구액 기준으로 보면 2018년 22위에서 시작해 2020년 15위, 2021년 14위, 2022년 13위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최초로 도입한 디지털 PET-CT.
국내 최초로 도입한 디지털 PET-CT.

그는 “순위 상승보다 중요한 것은 질적 성장”이라며 “동산병원은 지난해 환자경험평가에서 전국 1위를 차지할 만큼 환자 중심 의료를 실천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중증 질환 진료 역량을 강화하고 연구 및 교육 환경을 혁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의료원장은 지방 병원의 현실과 계명대 동산병원의 경쟁력을 강조했다. 조 원장은 “현재 지방에서 충남대병원이 1300병상을 보유하며 선두를 달리고 있고, 그 다음이 계명대 동산병원”이라며 “대구에서 전국 20위 안에 드는 병원은 동산병원이 유일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병원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병상 수를 늘리는 것 뿐만 아니라 연구 중심의 의료 환경을 구축해야 하며 이와 함께 연구 중심 병원으로의 전환을 강조했다. 조 원장은 “우리 병원은 앞으로 연구 중심의 의료기관, 즉 ‘아카데미 하스피탈(Academic Hospital)’로 성장해야 한다”며 “연구를 기반으로 한 의료 혁신이 이뤄져야 국내 최상위 10위권 병원으로 도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인프라 확충과 전문 인력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계명대 동산의료원은 국내 의료계를 선도하는 병원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를 위해 계명대 동산의료원이 의료 환경 혁신을 가속화하며 스마트 병원을 넘어 환자의 감성을 배려하는 ‘감성 병원(Emotional Hospital)’으로 도약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조 의료원장의 리더십이 자리하고 있다.

조 원장은 “최첨단 AI 기술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진단과 치료의 정밀도를 높이고, 환자의 삶을 구하는 의료 혁신”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단순한 스마트 병원이 아니다. 최첨단 기술을 활용해 의료진이 환자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더욱 인간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성 병원이 되는 것이 목표”라고 주장했다.

지멘스사 소마톰포스 컴퓨터 단층 촬영 장비(CT).
지멘스사 소마톰포스 컴퓨터 단층 촬영 장비(CT).

감성 병원을 만들기 위해서 계명대 동산의료원은 환자 중심 의료 서비스 강화, 연구 및 교육 역량 증대, 그리고 의료 인프라 고도화를 핵심 과제로 삼았다. 조 원장은 “병원의 혁신은 장비와시설 확충이 아니라 의료 수준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는 중요한 과정”이라며 “스마트 기술 도입을 넘어, 환자가 보다 편안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의료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보통 스마트 병원이라고 하면 로봇이 수술하는 모습을 떠올리지만, 우리가 지향하는 것은 단순한 자동화가 아니다”며 “예를 들어 환자가 입원할 때 입원 접수를 위해 기다릴 필요 없이 바로 병실로 갈 수 있고, 퇴원 시에도 자동 결제가 이루어져 따로 정산할 필요가 없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조 원장은 “계명대 동산의료원은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접목해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환자 중심의 의료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응급실과 영상의학과에서는 AI가 뇌출혈·뇌경색 CT를 자동 판독해 의료진이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고 건강검진센터에서는 AI가 CT 영상을 분석해 이상 여부를 빠르게 판별하는 시스템을 도입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간호사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간호사들은 하루의 60%를 체온과 혈압을 측정하는 등 반복적인 업무에 소비하고 있다”며 “우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입해 이러한 측정 작업을 자동화하고, 의료진이 보다 의미 있는 환자 돌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고 말했다.

의료진과 환자 간의 소통 방식 또한 혁신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원장은 “의사들이 진료 중 환자의 얼굴을 바라보는 시간이 짧다. 대부분의 시간을 컴퓨터를 보며 차트를 입력하는 데 사용한다. 바빠서 그렇긴 한데 올바른 치료와 케어가 되겠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보이스 차트 시스템을 도입해 의사들이 환자의 눈을 마주 보며 더욱 인간적인 진료를 할 수 있도록 만들 것”이라고 미소 지었다.

그러면서 “AI와 자동화 기술은 환자를 치료하는데 중요하긴 하다. 하지만 의료진이 환자에게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일 뿐”이라며 “기술이 발전할수록 의료진은 환자의 이야기를 더욱 경청하고, 환자와 교감하는 시간이 늘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치흠 계명대 동산의료원장.
조치흠 계명대 동산의료원장.

계명대 동산병원은 현재 국내 최초로 ‘크리니컬 키(Clinical Key)’ 시스템을 도입해 200명의 교수진이 방대한 의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카카오 헬스케어와 협력해 스마트 의료 솔루션을 해외에 수출할 계획도 추진 중이다.

조 원장은 “우리는 지역 병원을 넘어서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연구 중심 병원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다른 병원들이 우리가 구축한 스마트 시스템을 보고 깜짝 놀랄 정도로 앞서가고 있다”고 자랑했다.

마지막으로 “상반기 중에 비수도권 최초로 미국 보건의료정보관리시스템협회(HIMSS) 병원 디지털수준 평가 인증 6단계를 마무리 할 계획”이라며 “우리 병원은 단순한 스마트 병원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새로운 플랫폼과 시스템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좋은 병원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