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신재생에너지 주택·건물 지방비 지원, <br/>내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방비 지원 의결
경북도가 지난 14일 ‘제1회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융복합·주택·건물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지원사업에 대한 지방비 지원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2025년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사업, 2025년 신재생에너지 건물지원사업, 2026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에 대해 심의했다.
먼저 지방비 지원계획은 3㎾ 태양광 저탄소모듈 기준 134만 원으로 국비와 자부담 등을 통해 총 449만1000원에 설치가 가능하다. 다만 경북도는 비태양광 부분의 보급 확대를 위해 지난해 대비 자부담 비율을 8% 상향 조정했다.
태양열, 지열 등 비태양광에 대한 지방비 지원 비율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반영했으나 정부의 설치비 지원단가가 약 3~7% 가량 낮게 책정돼 도민들이 부담할 금액도 상대적으로 낮아질 전망이다.
경북도는 이번 지원계획을 통해 2026년도 융복합지원 공모사업 규모를 올해와 비슷한 약 570억 원 정도로 예상하고, 국비 확보에 따른 지방비 예산이 적정 범위 내에서 지원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갈 계획이다.
2026년 융복합지원사업 에너지원별 보조금 지원 기준을 살펴보면 태양광, 태양열, 지열, 연료전지 등 에너지원별 용량, 설치위치 등에 따라 차등 지원된다. 또한, 경북도는 2025년 신재생에너지 주택·건물지원사업에도 지원한다.
홍석표 에너지산업국장은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지원사업을 통해 도민들이 실생활에 전기료와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앞으로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북 에너지위원회는 에너지 조례에 따라 경제부지사를 위원장으로 도의원, 대학교수, 전문기관, 시민단체 등 16명으로 다양하게 구성된 자문기구로 경북의 에너지 계획 및 주요 에너지 시책 등을 자문·심의·조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