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가 지지부진한 영일만 대교 조속 건설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칠구 도의원은 11일 열린 도의회 임시회에서 “경북도가 포항시, 정부 등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영일만 대교 적정성 재검토의 원활한 통과 등 사업이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경북과 포항시민의 염원인 영일만대교 건설 사업은 장장 18년간 제대로 된 첫 삽을 뜨지 못했고, 실상 1992년 포스코에서 발표한 ‘영일만 광역권 개발 기본구상’에서 출발했다는 점을 상기시켜 보면, 벌써 30년이 넘도록 표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일만대교는 영일만을 가로질러 포항의 남과 북을 잇는 해상대교로 지난해 설계비 540억원, 공사비 810억원 등 1350억원을 확보한데 이어, 올해 4553억원의 국비도 확보했다.
당초 전 구간을 해상 교량으로 추진할 계획이었지만, 국방부 반대로 결국 해저터널과 해상교량 복합 방식으로 설계 변경이 이뤄졌다. 1조 6000억원이던 당초 사업비 또한 3조 2000억원으로 두 배 늘어나면서, 현재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과정에 있다.
이 의원은 “올 연말 동해고속도로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된 이후 KDI결과가 발표되거나, 사업계획 적정성 승인이 나지 않는다면 영일만대교는 신규사업으로 분류돼, 예비타당성 조사부터 다시금 지리한 과정을 거쳐야 할 가능성이 높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게다가 2023년 2월부터 시작한 KDI의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결과가 2년이 지난 현재까지 감감무소식인 만큼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대교가 건설되면 현재 포화상태인 국도 31호선의 교통량이 20% 줄어 교통혼잡을 개선하고, 이동거리·이동시간을 단축해 물류비용이 엄청나게 절감될 것”이라며 “올해 안에 기재부의 사업계획 적정성 통과를 받아 내고 사업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이어, 영일만 대교는“동해안을 넘어 유라시아 권역을 잇고 북방교역과 태평양을 이어주는 환동해 중심시대 교역의 거점지역으로 경북과 우리나라의 경제, 물류, 산업, 관광 등의 분야를 전 세계로 이어주는 탄탄한 허리축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