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안동 위주로 개발 집중, 예천은 몰락의 길로 갈 것“

정안진기자
등록일 2025-03-03 10:28 게재일 2025-03-04
스크랩버튼
김학동 예천군수,  안동-예천 행정통합 불가 이유 설명
김학동 예천군수는 27일 예천군문화회관에서 개최된 ‘2025년도 이장 역량강화 교육’에 270여 명의 이장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최근 안동·예천행정통합에 절대 반대한다는 주민들의 강력한 요구에 대해 행정통합 불가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예천군 제공
김학동 예천군수는 27일 예천군문화회관에서 개최된 ‘2025년도 이장 역량강화 교육’에 270여 명의 이장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최근 안동·예천행정통합에 절대 반대한다는 주민들의 강력한 요구에 대해 행정통합 불가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예천군 제공

김학동 예천군수는 27일 오후 2시 예천군문화회관에서 개최된 ‘2025년도 이장 역량강화 교육’에 270여 명의 이장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최근 ‘안동·예천행정통합에 절대 반대한다’는 주민들의 강력한 요구에 대해 행정통합 불가 이유를 설명했다.

김 군수는 “당초 목표였던 도청 신도시 인구 10만 규모의 자족도시로 만들기 위해서 예천군은 신도시 인구유입을 위해 기업을 유치하여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전력투구하는 한편 신도시 발전의 낙수 효과로 안동·예천 원도심 경기가 살아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안동·예천행정통합 불가 이유로 예천군과 안동시가 통합할 경우 총면적이 서울시의 3.6배로 안동시의 경우 1읍 13개면 10개동, 601개 통·리 그리고 예천군은 2읍 10개면 281개리 산하에 882개 통·리의 비대해진 자치단체로 탈바꿈 한다.

특히 안동시는 용상리~송현리에 걸쳐 안동시 전체 인구의 2/3(11만여 명)가 시내에 거주하는 관계로 행정력을 골고루 펼칠 수 없어 외곽지역부터 급속하게 소멸 위기에 처하게 된다.

안동시 인구 15만여 명과 예천군 인구 5만4천여 명(신도청 인구 2만5천여 명)으로 통합청사는 인구가 많은 지역에 설치하는 타 자치단체의 통합 후의 모습을 보면 안동·예천행정통합이 성사될 경우 이런 전철을 밟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 더해 외곽지역에 배치될 가능성이 큰 쓰레기 매립장 등 혐오시설은 예천군에 설치될 것이란 전문가의 진단으로 볼 때 안동시와 예천군 주민 간 갈등과 분열만 더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는 김 군수의 설명에 참석한 이장들은 고개를 끄덕이며 통합 반대를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김 군수는 ‘신도시와 예천 구도심은 소외될 것이 뻔하고 통합은 지방소멸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강조하고 안동·예천(신도시 포함) 인구가 현재 20만7천여 명으로 인구 30만 명이 되어야 특례시로 되는 법령에 따라 특례도시 선정이 불가하고 통합 이후의 단체장은 안동시 원도심(11만 명 거주)을 챙기느라 신도시와 예천지역 발전에 신경 쓸 겨를이 없다는 것을 생각할 때 안동·예천이 통합하지 않고 지금의 자치단체로 유지하며 서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도시 경쟁력을 높일 때 인구가 증가한다는 원칙론에 따라 지금은 두 자치단체가 인구 10만 신도시 건설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통합이 이루어지면 작은 군에서 큰 혜택을 보는 것으로 주민들은 찬성하지만 인근 통합 자치단체 경우 포항시와 영일군, 김천시와 금릉군, 구미시와 선산군 등 통합 이후 지역 고유 명칭이 역사 속으로 사라진 것은 물론 대도시에 흡수 통합된 군 단위 자치단체의 경우 읍지역은 현재 처참하고 피폐해진 모습으로 변해 주민들의 의욕이 상실된 죽은 도시로 외지인들의 출입마저 뜸한 게 현실이다.

김학동 군수는 “선산군 등 이들 자치단체들의 통합 후 썰렁한 모습을 지켜 본 예천군민들에게 최근에는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한 인쇄물을 각 경로당과 신도시 주민들에게 무차별 배포하며 통합을 주장하고 있는 것은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이 난 격’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정안진기자 ajjung@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