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늦은 오후 아이와 산책을 나섰다. SNS를 살펴보다 작년 12월부터 시작된 특별전이 눈에 들어와 급히 나섰다. 누군가에겐 벼르고 세운 여행지들이 경주사람들에겐 흔한 산책 코스가 된다.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주말을 맞은 국립경주박물관은 여전히 붐볐다. ‘소소하고 소중한’이란 타이틀이 마음에 들었다. 산책코스가 그렇듯 경주에서 어지간한 유물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한다. 풍문으로 듣기에 어른들은 곧잘 어린 시절 유물 파편으로 소꿉놀이를 했다고 했다. 그 정도로 흔한 것이 토기 파편들이다. 드라마 지나가는 행인 1보다 배역이 적은 그들이 이번 전시의 주인공이 되었다.
처음 만난 대상은 중층 유리구슬이었다. 유리 위에 금박을 입히고 다시 유리를 입히면 금구슬이 된다고 한다. 신기한 한편 탐날만큼 예뻤다.
그 다음은 금동손이다. 머리 잃은 불상, 손 잃은 불상은 자주 만났지만 홀로 남은 ‘손’은 낯설다. 만든이의 마음이 그러했을까. 작고 귀여운 손 안에서도 부처님의 따스함이 느껴졌다.
평소와 달리 깨어진 항아리들도 유심히 살펴보게 되었다. 항아리마다 자신의 역사가 있을 것이다. 항아리 주인들은 그들의 항아리가 이곳에 이렇게 놓여질거라 예상했을까.
원도심에 갈 때면 자주 찾는 중심상가 주차타워 부지에서 발견되었다는 동물 모양 벼루는 개구리를 닮았다. 어쩌면 휴대용이었을지도 모른다는 벼루는 동일한 모양의 기념품이 있다면 바로 구입하고 싶을 정도로 매력적이었다. 이어지는 사자와 짐승 얼굴무늬 꾸미개도 마찬가지다. 두 마리의 사자는 씨익 웃는 모습이 더할나위 없이 사랑스럽다. 귀여운 외형덕에 아이의 반응도 좋다.
바독돌 앞에는 오목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기기가 준비되어 있는데 사람들 대기가 많아 다음을 기약했다.
직물코너에선 요즘 뜨개질에 관심이 많은 아이가 특히 관심을 보였다. 관람을 마치고 나올 때 남기는 메모에도 가장 관심이 있는 유물로 직물을 선택했다.
잠시후 드디어 만났다. 특별전으로 이끌었던 대상이었던 나무로 만든 빗이다. 하루를 계획하고 하루를 마무리 하는 시간 모두 함께 하는 빗이다. 저 빗 주인들은 어떤 하루를 보냈을까? 자신의 머리 혹은 가족의 머리를 빗기며 만들어갔을 일상들이 너무도 궁금해졌다.
모르는 이에겐 흔한 돌맹이에 불과했을지 모를 숫돌과 석기도 유심히 살펴보았다. 끝으로 만난 건 이번 전시에 처음으로 등장했다는 목조관음보살좌상이다. 조선 전기 작품으로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었다고 한다. 오랜만에 만난 세상 빛이 반가워서일까. 은은한 미소와 여유로워 보이는 자세로 사람들을 마주하고 있었다.
또하나 이번 전시의 특별한 점은 각각의 유물을 담당한 큐레이터에 대한 소개다. 중간중간 재밌게 소개된 그들의 안내는 전시의 맛을 한껏 더해주었다. 옆에 없지만 함께 관람하는 기분이 들었다.
이번 특별전 관람은 당연하고 소소한 것들이야말로 우리 일상을 채워주는 가장 소중한 존재임을 깨닫게 해주는 시간이었다.
특별전은 오는 3월 9일까지 진행된다. /박선유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