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야 가라” 책 읽으려 체력 기르고, 바리스타로 인생 2막<br/> 꽁꽁 언 땅에 새싹 돋고, 마른 나뭇가지에도 꽃 피듯이<br/> 올봄에는 저마다 원하는 꽃 하나씩 피워보자
한동안 따스한 햇살에 몸이 녹아내리더니 또 꽃샘추위다. 창문이 덜컹덜컹 바람에 흔들리며 쉽게 봄이 오지 못함을 되새겨준다. 봄이 봄다워지기 위해 아직 몇 번의 몸살이 더 남았을까. 이월의 끄트머리에서 너무 성급히 봄을 기다리는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눈을 들어 먼 산을 바라보면 산빛이 조금 변해 있다. 산책길에 발견한 버들개지 보송한 솜털에도 봄기운이 묻었다. 어떤 일이든 어느 날 갑자기 이루어지는 일은 없다고 하지 않는가. 이렇게 조금씩 조금씩 색을 바꾸고 땅을 녹이고 거죽을 뚫으며 봄은 오고 있다.
“봄이 봄다워지기까지 / 언제고 한번은 이렇게 / 몸살을 하는가보다 / 이 나이에 내가 무슨 꽃을 피울까마는 / 어디서 남몰래 꽃이 피고 있기에 / 뼈마디가 이렇게 저린 것이냐”- 정희성 시 ‘꽃샘’
요즘 시대에는 꽃피는 나이가 따로 없다는 생각이 든다. 얼마 전 티비에서 91세 할머니를 보았다. 책을 읽는 체력을 기르기 위해 그 연세에도 마라톤을 하셨다. 새벽 다섯 시면 어김없이 일어나 아파트 주변을 열다섯 바퀴씩 도는 할머니의 열정은 젊은이의 열정 저리가라였다. 삼십 년을 마라톤을 해오신 할머니가 일 년에 참가하는 마라톤 대회만도 몇십 군데였다. 오로지 책을 읽고 배우는 기쁨을 위해 마라톤을 하는 할머니는 정말 대단했다. 꾸준히 책을 읽어야 하기에 기초 체력을 다지기 위해서 마라톤을 한다니 누가 이 할머니를 노인이라 할 것인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서 힘든 마라톤마저도 마다하지 않는 열정, 그 열정은 원하는 것을 이루는데 나이는 아무런 걸림돌이 아님을 말해준다. 또 우리 모임에는 바리스타 할머니가 계신다. 일흔이 넘은 나이에 실버 카페에서 일하신다. 검정 앞치마를 두르고 커피를 내리는 모습이 멋지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바리스타 대회에 출전하여 입상도 하셨다며 수줍은 미소를 지으신다. 할머니 바리스타의 커피는 뭔가 다르다. 젊은 사람이 뽑는 커피와는 다른 연륜과 내공이 담긴 커피라 더욱 그윽한 향을 내는 것 같다.
꽃 피우는 일은 그저 되지 않는다. 엄혹의 시기를 기다림과 인내로 건너와야 한다. 중년을 지나면 이미 꽃피우기는 늦었다며 이 나이에 뭘 하겠냐고 미리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꿈을 이루는 데 나이는 숫자일 뿐이다. 꽁꽁 언 땅에 새싹이 돋고 마른 나뭇가지에 다시 꽃이 피듯이 누구에게나 꽃을 피울 수 있는 힘이 있다. 비록 꽃샘추위가 바람을 몰고 와 발목을 잡아도 포기하지 말자. 오늘이 가장 젊은 날이라는 말을 가슴에 새기며 올봄에는 원하는 꽃 하나씩은 피워보자. 그 꽃으로 세상은 조금 더 아름다워지고 누군가는 커다란 용기를 얻을지도 모르지 않겠는가. 뜻을 버리지만 않으면 어느 나이에도 꽃은 핀다.
/엄다경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