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서 ‘아령 사회’라는 말을 접했다. 우리 사회가 극단만 두툼해지고 중간은 얇은 사회로 되어간다는 뜻이다. 관련 기사를 찾아보니, 2024년 조선일보에 홍성국 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인터뷰한 내용에도 아령 사회라는 말이 나온다. 그는 ‘지금 우리 사회가 점점 아령 사회로 변해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상대방을 적으로 규정하고 상대방이 사라져야만 내가 더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고 말한다.
이 말을 듣자니, 이탈로 칼비노의 환상 소설 ‘반쪼가리 자작’의 교훈이 떠오른다. 환상 소설이라는 컨셉에 맞게 등장인물을 기상천외하게 설정했지만, 양극화된 현실을 풍자한 깊이가 남달라서 두고두고 생각나는 작품이다. 주인공 메다르도 자작은 전쟁에 나갔다가 몸이 세로로 반쪼가리가 된다. 하지만 환상 소설답게 그는 죽지 않고 반쪼가리 상태로 각각 따로 집으로 돌아온다.
그런데 먼저 돌아온 반쪼가리는 농노들의 가축을 반쪽 내는 등 악의 화신처럼 잔인하게 군다. 농노들이 그를 싫어하고 피하는 건 당연하다. 그런데 나중에 돌아온 선한 반쪼가리는 분명히 착한 의도이기는 한데, 농노들에게 요구하는 도덕 기준이 너무 높고 비현실적이다. 예를 들어, 한센병 환자에게 영혼도 치료해야 한다면서 도덕적인 행동을 강요하며 그들의 유일한 낙이었던 음악 연주와 놀이를 금지했다. 결국 농노들은 악한 반쪼가리 이상으로 선한 반쪼가리도 증오한다.
다행히 두 반쪼가리가 모두 한 여자를 좋아하자, 그 여자는 두 반쪼가리와 한날한시에 결혼을 약속하여 그들을 결혼식장에서 만나게 한다. 그때 마을 사람들이 두 반쪼가리의 몸을 붙여 꽁꽁 묶어 온전한 사람으로 만들자 반쪼가리들의 극단적 행동은 멈춘다. 그러나 그렇게 끝나면 뻔한 교훈이 되었겠지만, 반전의 여운이 깊다. 현대 사회가 너무나 복잡해졌기 때문에 아무리 온전한 몸을 가진 자작이라도 혼자 정치를 잘할 수 없었고, 그래서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세상이 비로소 잘 돌아가게 되었다고 마무리했기 때문이다. 이런 결말은 홍상국 전 의원의 제안과 상통한다. 그가 아령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놓은 해법은, ‘우리 삶의 70~80%는 경제와 관련되어 있으니 대안을 만들기 위해서는 경제에 식견 있는 사람이 국회에 많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얼마 전 윤석열 대통령에게 구속영장을 발부한 판사의 결정에 불복하여 서부지방법원에 난입한 사람들이 거의 체포되었다. 그중 이형석 사랑제일교회 특임전도사의 집에 한 방송사가 가 보니 지하 작은 방이었다고 한다. 아령 사회의 한 단면을 보는 것 같았다. 선동가들이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런 사람을 이용한다는 분석에 고개가 끄덕여졌다.
지난주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경제성 없어서 폐기되었다는 뉴스가 대서특필되었다. 대왕고래프로젝트는 전문가가 경제성을 증명할 수 있는 사업이다. 국민을 생각하는 정치인이라면 정치 논리로 사업을 추진하지 말고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진짜 전문가들을 기용해서 아령 사회를 끝낼 수 있어야 한다. 다음 대선에서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