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AI가 탄생하기까지의 다섯 번의 혁신

윤희정 기자
등록일 2025-02-06 18:55 게재일 2025-02-07 14면
스크랩버튼
‘지능의 기원’<br/><br/> 맥스 베넷 지음· 더퀘스트 펴냄·인문

세계적인 과학자이자 AI 기업가인 맥스 베넷은 인간의 지능 너머 AI가 탄생할 수 있었던 비밀은 인간 계통의 뇌에서 일어난 다섯 번의 혁신에 있다고 말한다. 그의 저서 ‘지능의 기원’(더퀘스트)은 뇌를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 인간의 본질을 알고 싶은 사람뿐만 아니라 AI 산업을 이끌어가는 사람과 미래의 변화를 읽고 싶은 사람들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베넷은 인간의 지능이 출현하기까지 그리고 인간이 새로운 지능을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 전체를 요약하면 다섯 번의 혁신이 누적된 결과라고 주장한다. 이 책은 진화적 관점과 신경학적 메커니즘을 통합해 새로운 통찰을 전하며, 뇌과학의 현주소를 만나는 최적의 안내서로 평가받고 있다.

저자는 최초의 지능이 탄생한 순간부터 인간의 지능이 출현하기까지, 그리고 인간이 새로운 지능을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 전체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조종(Steering): 5억5000만 년 전 우리 조상들은 뇌를 갖춘 좌우대칭동물로 바뀌면서 조종을 통한 탐색이라는 혁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신경학적 변화를 이뤘다.

△강화(Reinforcing): 약 5억 년 전 등장한 물고기처럼 생긴 척추동물은 강화학습이 가능해지면서 미래의 보상을 예측하고 호기심이 생겼으며 패턴을 인식할 수 있게 됐다.

△시뮬레이션(Simulating): 초기 포유류에서 새롭게 등장한 뇌 구조인 새겉질 중 감각새겉질이 바깥세상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이마엽새겉질이 자기 모델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만든 결과 초기 포유류는 대리 시행착오, 반사실적 학습, 일화기억 등을 통해 포식자를 따돌리며 시뮬레이션을 무기화해갔다.

△정신화(Mentalizing): 초기 영장류에게는 마음이론, 모방학습, 미래의 필요예측이라는 큰 세 가지 축이 등장하면서 성공적으로 과일을 채집하면서도 정치공작을 벌이는 능력을 동시에 촉발시켰다.

△언어(Language): 초기 인류는 아프리카 사바나 숲이 사라지면서 도구를 만들고, 육식으로 생존하는 생태적 지위로 내몰렸다. 이런 생태적 지위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세대를 거쳐 도구 사용법을 정확하게 전파할 수 있어야 했고, 그 결과 원시언어가 등장했다. 이 가능성을 위해 뇌의 오래된 구조물들이 재조정되면서 뒷담화, 이타주의, 처벌의 되먹임고리를 바탕으로 한 퍼펙트 스톰이 야기됐다.

이 다섯 번의 혁신이 이 책을 구성하는 지도이며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모험의 이정표 역할을 한다. 각각의 혁신은 뇌가 극단적인 상황에 내몰리거나 강력한 되먹임고리에 갇혔던 시기에 등장해 동물들을 새로운 지적 능력의 포트폴리오로 무장시켰다.

‘지능의 기원’은 인간 지능의 진화를 설명할 뿐만 아니라, 미래 인공지능의 발전 방향에 대한 비전도 제시한다. 저자인 베넷은 언어모델들이 더 많은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크기를 키워나가더라도, 외부 세계나 마음에 대한 내부 모델을 통합하지 않으면 거대한 언어모델(LLM)이 인간의 지능에 대한 본질적인 무언가를 담아내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또한, 저자는 AI와 인간의 상호작용이 완전해지면 뇌의 여섯 번째 진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인공 초지능’이라고 불리며, 생물학적 한계를 넘어서는 디지털 매체에서 새로운 형태의 지능을 창조하는 단계로 발전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인공 초지능의 발전 속도와 방향은 기존의 진화 과정과는 다를 것이며, 심지어 기존의 진화체계 자체도 폐기될 가능성이 있다. 즉, 인공 초지능은 기존의 패턴을 뛰어넘는 전혀 새로운 진화를 이뤄낼 것이라는 의미다. /윤희정기자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