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쉼터’ 등 보호시스템 지원
경북도가 위기에 놓인 청소년을 보호하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의 성장을 돕고 있다.
경북도는 가정 불화나 학대 등으로 가정과 학교로 돌아가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진 학생들이 비행과 범죄에 노출되지 않도록 여러가지 청소년 보호 시스템을 지원하고 있다.
가정 밖 청소년에게는 청소년 쉼터를 운영한다.
현재 도는 도 직영 2개소를 포함해 총 7개의 쉼터를 운영중이다.
이들 기관에서는 만 9세부터 24세까지 다양한 가정 밖 청소년들에게 의식주 제공은 물론 학업과 심리상담, 문화 여가 지원 등 다양한 보호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른 지자체와는 달리 쉼터 퇴소 후 청소년이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정서적 지원과 취업 등을 지속 관리하는 자립강화사업을 중점적으로 시행중이다.
안성렬 저출생과전쟁본부장은 “가정,학교에서 소외된 청소년들이 좌절과 실패를 겪고 좌절하는 것이 아닌 도전 할 수 있도록 하는게 중요하다”며 “미래 희망인 청소년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호와 지원에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2020년부터 작년까지 퇴소한 9명의 청소년은 모두 자립에 성공했다.
2명은 대학교에 진학해 학업을 이어나갔고, 간호사 1명과 치위생사 1명, 사회복지사 2명, 피부관리사 1명 등 총 5명은 사회에서 전문적인 직업을 갖고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
그 중 1명은 결혼해 단란한 가정을 꾸렸다.
15세 때 쉼터에 입소해 21세에 퇴소한 A씨는 최근 자립에 성공했다.
A씨는 “한때 가정 학대와 학교 부적응 등 학업 중단 위기에 처했었지만 지금은 치위생사로 성실히 근무하고 있다”며 “현재 입소 청소년들에게는 멘토로 활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도는 소외받은 청소년들을 위한 여러가지 방안을 운영중이다. 경북교육청에 따르면 2023년 한 해만 학교를 그만둔 도내 청소년이 2000명에 달한다. 여기서 해외 출국 등의 사유인 452명을 제하면 1548명이 학교 밖 관심이 필요한 청소년이다.
/김채은기자 gkacodms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