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10개구단 지출 규모<br/>kt wiz 430만 달러 가장 많아<br/>SSG·LG 각 400만 달러 투입
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025시즌 외국인 선수 선발에 역대 가장 많은 금액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연합뉴스 집계 결과, KBO리그 10개 구단은 30명의 외국인 선수 선발에 총 3420만 달러(약 500억원·옵션 포함)를 썼다.
선수 한 명당 114만 달러(16억7000만원)를 주고 영입한 셈이다.
역대 최대치다. 이전까지는 2023년 총 3194만4000달러(467억원)가 최고액이었다.
올해엔 400만 달러 이상의 고액을 쓴 구단이 세 팀이나 나왔다.
kt wiz가 430만 달러, SSG 랜더스와 LG 트윈스가 각각 400만 달러씩을 썼다.
이전까지 외국인 선수 3명을 선발하기 위해 400만 달러 이상을 쓴 사례는 단 3차례였다.
2017년 한화 이글스(480만 달러), 2018년 KIA 타이거즈(402만5000달러), 2023년 삼성 라이온즈(460만 달러)가 전부였다.
적은 금액을 쓰는 구단도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올해 300만 달러 미만을 투자한 구단은 두산 베어스, 한화(이상 280만 달러), 키움 히어로즈(240만 달러)등 3개 구단뿐이다.
지난해는 4개, 2023년엔 절반인 5개 구단이 300만 달러 미만의 돈을 썼다.
KBO리그 외국인 선수 몸값은 2014년부터 뛰기 시작했다.
당시 10개 구단은 외국인 선수 첫 계약 몸값 상한선(당시 30만 달러)을 폐지한 뒤 팀당 보유 외국인 선수를 2명에서 3명으로 늘렸다.
2015년엔 kt의 1군 합류로 10개 구단 체제가 완성됐고, 그해 10개 구단 외국인 선수 총 영입금액은 2040만 달러를 찍었다.
2017년엔 3000만 달러를 돌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기승이었던 2020년과 2021년엔 각각 2천916만8천700달러, 2천897만5천달러를 기록했으나 2022년 3천129만 달러로 다시 3000만 달러를 돌파하더니 2023년엔 3194만 달러로 최고치를 찍었다. 그리고 2년 만에 최고액을 다시 돌파했다.
외국인 선수 영입 투자 금액과 팀 성적이 정비례하는 건 아니다.
한화는 2017년 역대 가장 큰 금액인 480만 달러를 투입하고도 정규시즌 8위에 그쳤다.
2017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KIA는 2018년 외국인 선수 영입에 402만5천달러를 투입한 뒤 5위로 미끄러졌다.
2023년 460만 달러를 쓴 삼성도 8위로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보통 국내 선수 전력이 약한 팀들이 외국인 선수 영입에 공을 들이기 때문에 이같은 경향을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