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뼈에서 나오는 신경들은 합쳐졌다 나눠지면서 팔로 내려온다. 대표적인 신경으로는 요골신경, 정중신경, 척골신경이 있다. 이 신경들은 쇄골 안쪽을 지나 각자의 주행 경로를 따라 위팔과 아래팔, 손가락까지 내려간다. 중간중간 신경의 분지를 내어 근육에 영양 공급을 하며, 손목 쪽에서 여러 가닥으로 나누어져 손가락으로 내려간다. 팔을 과도하게 사용 하거나 잠을 잘못 자서 이들 신경이 눌리면 팔이나 손이 저리기도 하고 힘이 들어가지 않아 물건을 들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문제가 생기는 신경은 정중 신경이다. 대부분은 손목의 횡인대에서 신경이 눌려 발생한다. 신경이 눌리면 손가락이 저리고 전기가 통하는 느낌이 든다. 오랫동안 치료하지 않으면 신경의 손상이 생겨 손에 조금만 힘을 줘도 아프고 저려 손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생긴다.
손목터널 증후군 환자의 정중 신경을 초음파로 스캔해 보면 신경의 단면적이 갑자기 두 배 정도로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는 신경이 많이 눌린 상태로 병이 오래되었고 신경 자체의 손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음파로 실시간으로 보면서 약침으로 신경 주변을 압박하는 인대와 주변 손가락 힘줄들을 분리해 줄 수 있다. 현재는 이렇게 하는 치료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몇 회 치료로 많이 개선되지만 오래되고 심하게 눌린 경우에는 10회 이상 반복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이때 심부 혈액 순환을 돕는 한약 처방을 함께하기도 한다.
모든 신경은 목에서부터 내려오므로 잘 낫지 않는다면 경추 쪽 신경 뿌리나 신경들이 얼기설기 모여 있는 상완 신경총을 함께 치료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추나요법을 병행하면 목과 팔까지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어 보통 같이 치료한다.
초음파로 확인했을 때 가끔 신경 밑이나 손가락 힘줄 부근에 물혹이 생겨 압박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직접 그 부분에 약침액을 주사해 빵빵하게 부풀린 후 터뜨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원인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터널 증후군보다 빨리 좋아진다.
이렇게 초음파로 직접 보기 전까진 사실 정중신경 상태가 어떤지 물혹이 누르는지 손가락 힘줄이 부어 누르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어떤 상태인지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손 저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을 사용하는 것을 최대한 자제하고, 불가피하게 손을 사용해야 한다면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여 손목을 보호해야 한다. 일이 없을 때는 손목 보호대를 풀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사용 후에는 신경이 지나가는 경로의 팔뚝을 꾹꾹 눌러 뭉친 곳을 풀어주어야 한다. 바로 누운 뒤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다른 사람이 아래팔의 이두근부터 아래팔 근육을 눌러 풀어주는 것이 좋다.
자세는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허리를 펴고 가슴을 편 뒤 턱을 당겨 둥근 어깨와 일자목을 예방하고 개선해야 한다. 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목이 앞으로 빠지면서 목과 팔까지의 신경이 고무줄이 늘어진 것처럼 당기는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꼭 자세를 바로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