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예천군의‘주민 주도 농촌활력 사업’ 성과…지역발전지수 급상승

정안진기자
등록일 2024-12-19 10:53 게재일 2024-12-20
스크랩버튼
희망키움센터청년리더양성과정. /예천군제공
희망키움센터청년리더양성과정. /예천군제공

예천군의 지역발전지수(RDI)가 급상승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는 전국 159개 시·군을 대상으로 2024년 지역발전지수(RDI)를 평가했다. 예천군은 이 평가에서 주민 활력 분야 순위가 153위에서 59위로 크게 올랐다.

농촌경제연구원이 2년 주기로 발표하는 지역발전지수는 지역을 삶터, 일터, 쉼터와 같은 공동체의 ‘터’로 개념화하고 이를 생활서비스, 지역경제력, 삶의 여유공간, 주민활력 등 4개 부문으로 점수화해 총합을 계산한 지수로 10년 전과 비교해 순위를 발표한다.

농부창고 생강청 생산. /예천군제공
농부창고 생강청 생산. /예천군제공

예천군은 이 평가에서 주민 전문가 그룹인 ‘신활력플러스추진단’을 구축해 민관 협력 네크워크를 조성하고 주민 역량강화 프로그램인 ‘예천희망아카데미’를 통해 지역 액션그룹을 육성한 점이 주요 성과로 인정받았다.

예천군의 이같은 노력은 경북도 농촌활력평가 최우수 기관 선정에 이어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 수상까지 이어지며 예천군의 지역발전지수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예천희망키움센터 전경. /예천군제공
예천희망키움센터 전경. /예천군제공

예천군의 원도심에 자리한 ‘희망키움센터’는 원도심과 신도시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핵심 거점으로 자리잡았다. 이곳은 주민 역량강화, 지역 재생사업, 공동체 관리 등을 통해 예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희망키움센터’는 노년층이 많은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 신도시에 새롭게 유입된 인구를 문화적으로 통합하며 청년 창업을 적극 지원하는 등 지역 간 융합을 이루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 ‘예천희망아카데미’를 운영하며 주민 역량강화에 집중했다. 일반 주민을 대상으로 한 액션그룹 양성 프로그램과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청년 리더 양성과정, 마을 활동가 양성과정 등 다양한 교육을 통해 주민들의 자립적 발전을 위한 토대를 다졌다. 원도심에서 만끽하기 힘들었던 문화생활까지 지원하며 주민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했다.

생텀마을청년마을발대식. /예천군제공
생텀마을청년마을발대식. /예천군제공

특히 귀농을 하면서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이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농부창고 영농조합법인’은 연매출 20억 원에 달하며 중소벤처기업부 ‘강한 소상공인’ 통합 대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다.

‘예천 생텀마을’은 수려한 자연경관을 바탕으로 힐링과 명상 등을 통해 청년을 살리는 ‘힐링 청년마을’이라는 독특한 구상으로 청년주도의 웰니스 문화사업을 선도하고 있다.

예천 농특산물인 사과와 호두를 활용한 상품을 개발하는 등 지역 청년들의 유출을 방지하고 도시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유도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도깨비곳간’은 방치된 파출소 건물을 리모델링해 복합문화공간과 카페로 탈바꿈하면서 안도현 시인과 함께하는 감성문학 콘서트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추진하고 있다.

목수가 살린 예천문화유산 ‘예천시니어 목공방’은 은퇴한 주민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 문화재 체험프로그램 개발로 인기를 끌고 있다.

‘금당실 청년리 지켜줄게’ 마을조성은 지역전통마을 금당실과 건축물에 비즈니스 모델을 접목해 문화유산의 가치를 보존하고 전통마을에 활력을 부여한 사례로 매니페스토 경제활성화 부문 전국 대상을 수상했다.

사회적 약자(장애 농업인)를 중심으로 구성된 주스류 제조 판매 농업기업 ‘㈜장수’는 장애인 기업 인증을 획득하며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있다.

/정안진기자 ajjung@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