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3월18일 일본 시마네현의회가 1905년 2월22일 소위 시마네현 고시 제40호로 독도를 편입한 100년을 기념해 매년 2월 22일을 다케시마의 날(독도의 날)을 제정했다.
그런데 올해 5월 24일 울릉군의회가 매년 10월 25일을 공식적인 독도의 날로 제정, 지난 10월 25일 울릉군이 첫 기념식을 했다. 민간단체들이 10월 25일을 독도의 날이라고 하지만, 공식적으로 지정된 것은 울릉군이 처음이다.
일본이 독도의 날을 제정해 기념식을 하는 데 대응해 독도의 날을 제정한 것은 일본을 뒤따른다는 느낌이 든다. 독도에 대해 기념일을 제정한다면 ‘칙령 제41호 공포 또는 제정기념일’로 하는 게 옳다.
문헌에 의해 독도가 공식적으로 대한민국의 땅이 된 것은 1900년 10월25일 고종이 ‘칙령 제41호’를 공포하면서 독도가 조선의 땅이라는 사실을 공식적 반포 했기 때문이다.
이 칙령은 “울도(鬱島)를 군으로 개칭하고, 관할구역은 울릉 전도(全島)와 죽도(竹島), 석도(石島)를 관할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시 울릉도 명칭은 ‘울도’로 단순 섬이었지만, 고종 칙령 제41호로 울도군으로 승격했다. 초대군수로 배계주를 임명하고 관할구역을 울릉도(본섬)와 죽도(댓섬), 석도(독도)를 관할토록 했다.
그런데 일본은 석도가 독도가 아니라는 주장이다. 울릉도 주변에는 독도외에 큰 섬인 관음도와 죽도가 있다. 따라서 일본학자들은 칙령은 이섬을 지칭한다며 석도는 독도가 아니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하지만, 이 주장은 허구다. 석도는 한문의 돌석(石)자 붙여 석도라고 했다. 나무가 자라지 않는 돌섬이라는 뜻이다. 독도는 나무가 자라지 않는다. .
관음도와 죽도는 소나무와 대나무, 후박나무 등 큰 나무와 울창한 숲이 우거져 석도(돌섬)라고 이름을 붙일 수 없다. 독도와 울릉도 접근이 어려운 일본학자들이 엉터리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식 문헌에 독도를 꼭 집어 관할하라는 것은 고종의 칙령 제41호가 공식적으로 대한민국의 땅으로 첫 인증한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칙령 제41호에 따라 울릉군으로 승격한 날이 울릉군 기념일로 정해진 것이다. 따라서 독도는 울릉도 부속도서로 자연스럽게 울릉군민의 날과 함께 포함된다. 별도로 독도의 날을 정할 필요가 없다.
역설적으로 대한민국의 섬은 총 3348개로, 이 중 유인도는 430개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섬들은 다양한 특징을 갖고 있다. 중요한 섬에 대해 모두 기념일을 정할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
독도의 날 기념일은 일본인들이 억지로 자기 땅이라고 우기기 위한 느낌이 드는데 구태여 우리까지 독도의 날을 정한다는 것은 일본을 따라하는 느낌이다.
공식적으로 독도를 편입한 날을 기념해 울릉군 기념과 겹치지 않는 칙령 제41호 공포기념일 또는 제정 기념일로 하는 것이 기념일의 뜻과 이치에 맞는 듯싶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