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내외 과학기술 석학 한자리에

장은희기자
등록일 2024-11-14 18:26 게재일 2024-11-15 6면
스크랩버튼
  2024 대성해강사이언스포럼<br/> ‘양자컴퓨팅과 노화’ 주제 개최<br/>“혁신적 기술탄생 플랫폼 희망”<br/>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 환영사
14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2024 대성해강사이언스포럼’에서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대성에너지 제공

대성그룹은 14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2024 대성해강사이언스포럼(DAESUNG HAEGANG SCIENCE FORUM)’을 개최했다.

올해로 7회를 맞는 포럼은 올해부터 ‘대성해강사이언스포럼’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양자 컴퓨팅과 노화’를 주제로 생명공학, 양자 컴퓨팅, 인공지능, 시스템 생물학 등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의 융합 연구 성과를 조명했다.

이번 포럼은 국내외 석학들로 구성된 연사들의 기조연설과 패널토론, 신진 과학자들의 연구 발표 등으로 진행됐다. 주요 연사로는 국내에서도 유명한 미국 양자컴퓨터 전문 기업 ‘아이온큐’의 공동설립자이자 퀀텀 컴퓨터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김정상 교수(미국 듀크대)가 기조연설과 토론에 참여했다. 또 나노자성체와스핀트로닉스 기술을 적용한 스핀소자 분야에서 세계적 연구성과를 보유한 김갑진 교수(KAIST)가 ‘퀀텀컴퓨터의 미래’를 주제로 양자 기술이 미래 사회에 미칠 영향력에 대해 소개했다.

Aging 세션에서는 AI와 바이오기술을 융합한 시스템 생물학 연구를 통해 질병 진단 및 신약 개발을 선도하고 있는 조광현 교수(KAIST)가 시스템 생물학 연구의 최신 성과를 발표했다. 이어 이승재 교수(KAIST)가 줄기세포 및 재생 의학 기술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역노화 및 회춘, 노화 과정을 지연시키고 건강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노화 과학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이날 스페셜 세션으로 바이오정보학 및 데이터 마이닝 분야의 대가인 이도헌 교수(KAIST)가 AI 기술이 과학분야 발전에 발휘할 영향력과 메커니즘과 방법론, 향후 전망 등에 대해 설명했다. 신진 과학자들을 위한 세션에서는 KAIST 신우정 교수가 ‘공학적 접근법을 활용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KAIST 이영석 교수가 ‘RNA로 이해하는 노화 연구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했다.

올해는 특별히 KAIST 양자대학원장 김은성 교수와 공학생물학대학원의 조병관 석좌교수가 각각 두 세션의 좌장으로 포럼을 이끌어 인사이트를 교류하고 미래 과학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했다.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은 “지금은 과학기술의 혁신 없이는 지속가능한 성장과 미래를 담보할 수 없는 시대”라며 “이번 포럼이 생명과학, 양자역학, 우주과학, 뇌과학, AI 등 다양한 분야의 최첨단 연구들이 융합해 혁신적 기술이 탄생하는 플랫폼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