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김윤식 선생 전시회

등록일 2024-10-28 18:21 게재일 2024-10-29 19면
스크랩버튼
방민호 서울대 교수·국문과
방민호 서울대 교수·국문과

오전 열 시 반, 나는 규장각한국학연구원으로 향했다. 저녁에 있을 학술상 시상식 전에 한 번 더 김윤식 선생 전시회를 둘러보겠다고 생각했다. 9월 30일 개막해서 올해 말까지 이어지는 이 특별전시회 제목은 ‘혼신의 글쓰기’였다.

지하 1층 전시실 입구는 적막하게 느껴졌다. 시간이 이르다. 사람들이 아직 찾아들지 않았다. 좁지만은 않은 전시실. 김윤식 선생이 쓰신 저작들과 육필원고들, 연구를 위해 준비한 자료들, 그리고 당신의 생전 서재들.

적막한 전시실에 김윤식 선생의 생전의 말씀이 흘렀다. 소리를 따라 전시실 한쪽 공간으로 향했다. 설치된 티비에서 김윤식 선생의 강연, 대담 편집 영상이 상영되고 있었다. 당신만의 참으로 독특한 표정들, 당신은 표정을 많이 가지고 계시지 않았다. 정말 몇 개의 표정으로 당신의 삶을 요약할 수도 있을 것 같은, 적은 개수의 표정만을 가진 ‘사나이’였다.

소설 습작도 몇 편 남기신 선생은, 그러나 비평가였다. 가장 비평가다운 고독과 괴력의 사나이였다. 영상 속에서 선생이 말했다. 비평가는 자기표현을 금지당한 사람이라고. 또 자신은 ‘시체지기’처럼 남들이 쓴 것들 속에서 살아왔노라고. 나는 그 말씀 속에서 사르트르를 읽었다. ‘문학이란 무엇인가’에서 그가 비평가를 그렇게 규정했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카게무샤’(影武者, かげむしゃ)에는 일본 전국시대의 무장 다케다 신겐의 ‘그림자 무사’가 등장한다. 그는 하찮은 신분의 사람이었는데, 다케다 신겐을 닮은 까닭에 죽은 그가 살아있는 것처럼 세상을 속이는 사람으로 ‘채용’된다. 모든 것이 서투르기만 한 그는 살아생전의 다케다 신겐처럼 전투에까지 나가야 하는 딱한 신세가 된다. 날아오는 화살들에 겁에 질려 벌벌 떠는 ‘그림자 무사’. 옆에서 성난 꾸짖음이 들려온다. 주군은 산과 같았고, 산은 움직이지 않는다는 질타에 가짜 무사는 어쩔 줄을 모른다.

나는 선생이 바로 그 ‘그림자 무사’ 같은 사람이었다고 생각한다. 어느덧 그는 진짜 다케다 신겐 같은 차림새를 얻는다. 진짜처럼, 진짜가 되려고 하면서 그는 이윽고 생전의 다케다 신겐을 꼭 닮은 사람으로 거듭난다. 하지만 그렇게 모든 것을 진짜처럼 연기할 수 있었을 때 그에게 뜻하지 않은 불행이 찾아든다…. 선생은 비평가란 그런 존재이지 않으면 안된다고 생각한 사람이었다. 그는 소설가도 될 수 있었고, 강렬한 문체를 가진 산문가였지만, 비평가로서 살아가야 한다는, 숙명적 의식을 체득한 사람이었다. ‘진짜’ 비평가였다.

세월이란 무상하다. 지난 10월 25일은 김윤식 선생의 6주기 기일이었다. 저녁에 김윤식 학술상의 제3회 시상식이 있었다. 수상자는 숭실대 이경재 교수, 수장작은 ‘한국현대문학과 민족의 만화경’(2023)이었다.

이 상의 기금은 김윤식 선생의 생전의 아파트에서 온 것이다. 가정혜 선생께서 당신의 아파트를 국문학 연구자들을 위한 기금으로 내놓으신 것이다. 그보다 먼저 한국문학관에는 김윤식 선생이 생전에 쓰신 저작들로 모아진 더 큰 기금을 내놓으시기도 했다. 미망인께서 한국문학 전체와 선생이 재직하신 곳을 위해서 각기 ‘희생적인’ 출연을 아끼지 않으신 것이다. 보통 사람들은 결코 쉽게 할 수 없다.

방민호의 생각의 빛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