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일주일 간 뉴스를 장식한 굵직굵직한 사건 중에 내가 꼽은 가장 큰 사건은 한기호 국회의원과 신원식 안보실장의 문자 대화다. 지난 24일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을 공격해 피해를 발생시켜서 대북 심리전에 활용하자고 신원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에게 문자를 보냈고, 신원식 실장은 긴급대책회의를 했다며 이에 응수하는 내용이다.
국가정보원이 이미 지난 18일 북한군이 러시아에 현재까지 약 3000명 파병됐고 오는 12월까지 1만여 명 파병할 것이라고 밝혔고 22일에는 대통령실은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 진전 상황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공격용 무기’를 지원하는 것도 고려 중이라고 발표했으니 이들 대화는 단순한 사적 대화로 치부될 수 없다. 거기에 26일 뉴스에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5일에 ‘러시아와 북한은 무언가를 결정해야 할 때가 오면 결정할 것’이라고 발표하고 이것은 러시아도 유사시 한반도에 파병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한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을 남한과 북한의 대치 상황으로 유도하는 정치인들의 머리에는 도대체 무엇이 들어있는지 들여다보고 싶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에비치는 2015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벨라루스 작가다. 우크라이나 태생으로 43년간 구 소련인으로 살면서 전쟁의 고통을 잘 아는 작가이기도 하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와 한강 작가의 공통점은 여성 작가라는 점과 전쟁과 폭력의 참상을 강렬한 언어로 표현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알렉시에비치는 넌픽션 다큐멘터리를 소설처럼 써서 ‘목소리 소설’이라는 장르를 만들었다. 그는 전쟁에 참전했던 여자들, 전쟁의 참상을 목격한 어린이들 같은 약자의 목소리를 인터뷰했다.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는다’는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소련 여성 200명을 인터뷰한 기록이고, ‘마지막 목격자들’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현재 벨라루스 지역에 살던 0∼14세 어린이들 101명의 전쟁 목격담이다. 벨라루스는 1941∼1945년 사이 인구의 4분의 1이 죽을 정도로 전쟁의 피해가 극심했던 곳이다.
전쟁의 참상을 목격한 어린이의 눈이라면,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에 나오는 꼬마 죠슈아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마지막 목격자들’에는 죠슈아만큼, 아니 죠슈아보다 더 무기력했던 아이들의 목소리가 들어있다. 인터뷰는 40여 년이 지나 그 아이들이 42∼58세일 때 한 것이라 기억이 정확하지 않을 것이라고 폄하하는 사람도 있다지만, 독일군이 엄마 얼굴에 총을 쏜 순간, 독일군이 주민을 생매장하면서 울음소리도 내지 말라고 윽박지르던 모습, 하얀 옷을 입은 사람들이 고아들이 죽을 때까지 피를 뽑던 장면을 목격한 아이들의 기억은 생생하다.
북한이 보내는 소음을 견디지 못한 강화도민이 국감장에 와서 무릎 꿇고 울부짖는 모습을 보니 눈물이 난다. 북한이 러시아에 파병한다고 우리도 우크라이나에 군인을 보내 북한군을 무찌르자는 발상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마지막 목격자들’ 옮긴이의 말처럼, 과거를 잊은 자는 악을 저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