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지난주(25일) 윤석열 대통령과의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취임 후 처음 대구를 찾았다. 이날 대구 방문을 두고 특별감찰관 추천 추진에 드라이브를 걸기 위해 보수텃밭 세결집에 나섰다는 말이 나왔다. 친한계에서는 “보수 본진 상륙 작전”이라는 표현도 했다.
한 대표는 이날 국민의힘 대구시당에서 열린 대구여성정치아카데미에 참석해 “저는 여러분이 만든 CEO이고 여러분이 대주주다. 지금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변화와 쇄신을 하지 않으면 우리는 다 망한다”고 했다. 당 내분(內紛) 원인이 되는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과 관련해선, “11월 15일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1심 선고전에 해결돼야 한다”며 데드라인을 재차 제시했다. 반면, 친윤계에서는 특별감찰관 추천 진행을 한 대표가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월권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대통령실도 한 대표가 연일 특별감찰관 추천 문제를 언급하자 불쾌감을 숨기지 않고 있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여권내분을 지켜보는 국민들의 마음은 답답하기 짝이 없다. 국민 대부분은 여권내분의 일차적인 책임이 대통령실에 있다고 본다. ‘10·21면담’에서 한 대표가 요구한 3개 현안을 모두 거부하고, 유치한 수단을 동원해 수모까지 준 것은 누가봐도 잘못됐다. 지금은 대통령실이 현실인식의 틀을 바꾸지 않는 한 여권 내분을 풀 방법이 없다.
대구경북(TK)에서도 윤 대통령에 대한 민심은 최악이다. 한국갤럽이 최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TK지역의 윤 대통령 지지율은 전주 31%에서 26%로 5%포인트 하락했다. 전국 지지율은 20%까지 떨어졌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1%만 떠 떨어져도 심각한 레임덕이 온다. 국정표류를 막으려면 윤 대통령이 겸허하게 민심을 받아들이고 위기에 대한 해법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한 대표도 대통령과 정면으로 싸우면서 현안을 해결하려 해선 안 된다. 끊임없이 소통하고 설득하면서 엉킨 실타래를 풀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