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세금 먹는 하마된 과기부 산하 국립과학관

등록일 2024-10-20 18:58 게재일 2024-10-21 19면
스크랩버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관리 운영하고 있는 대구, 부산, 대전 등 전국의 5개 국립과학관이 제구실을 못하면서 예산만 까먹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국정감사에서 제기됐다.

국민의힘 이상휘 국회의원(포항 남·울릉)이 과기부로부터 제출받은 국감자료에 의하면 전국에 소재한 5개 국립과학관의 방문객 수가 최근 5년새 30.4%가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립중앙과학관이 42%로 가장 많이 감소했고, 국립대구과학관도 40%나 감소했다. 국립대구과학관의 경우 2019년 44만명이던 방문객 수가 작년은 26만여명으로 줄었고 올 현재는 17만여명 선에 그치고 있다. 부산과 광주 등도 비슷하다.

반면에 5개 과학관의 인건비 지출은 같은기간 평균 19%가 늘어났다. 또 과학관의 전체 예산 1270억원 중 자체수입 비중은 10.4%에 불과하고 대부분 예산을 정부 출연금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립중앙과학관은 자체 수입 비중이 겨우 5.8%다.

과기부가 지역에 과학관을 설립한 것은 국민의 과학적 소양을 높이고 과학문화 확산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하지만 지역에 설립된 과학관은 방문객 수가 줄고 인건비는 증가하면서 자체 수입은 늘지 않는 비효율적 구조에 머물고 있다.

그럼에도 과기부는 포항, 울산, 원주 등에도 신규 국립과학관 설립을 추진 중이다. 이 의원은 “과학관 스스로가 차별화된 콘텐츠를 갖추지 못하면서 또 하나의 과학관 설립은 나랏돈을 먹는 하마에 불과하다”는 지적을 했다.

국민의 과학기술 보급에 관한 인식을 높이고자 설립한 과학관을 목적에 맞게 운영하기 위해선 과기부와 지자체의 관심과 노력이 절실하다. 특히 지역에서 운영되는 과학관은 지역 미래산업과 교감하는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해 전시 운영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과학관 스스로가 경쟁력을 갖추지 않으면 많은 예산을 들여 과학관을 설립한 취지가 반감한다. 포항에 추진될 국립과학관은 타 지역과는 차별화된 과학관으로 모습을 드러내야 한다. 국립과학관은 국민의 세금에 의존하는 비효율적이고 구태한 방식의 운영 체제에서 하루빨리 벗어나길 바란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