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위기감 도는 새마을금고…근본 대책 나와야

등록일 2024-09-10 19:51 게재일 2024-09-11 19면
스크랩버튼

새마을금고와 신협 등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한 부실대출 등 금융사고가 전국적으로 끊이지 않는다. 대구와 경북에서도 이들 금융기관의 연체 증가율이 심상찮은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관리 감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대형 금융사고로 이어질까 두렵다.

1963년 협동조합 형식으로 출발한 새마을금고는 현재 전국에 1288곳의 금고가 세워진 가운데 자산규모만 287조원에 이르고 있다. 2200만명이 거래하는 서민금융기관으로 성장했으나 감독 부실과 전문성 부족 등으로 그동안 크고 작은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특히 지난해는 부동산경기를 타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이 대거 일어났으나 경기가 뒷받침되지 못해 전국 곳곳에서 부실대출 논란이 불거지는 상황이다.

지난해는 적자 금고가 431군데(33%)나 달해 전년 대비 10배 정도 늘었다. 연체율이 두자릿수를 기록한 금고도 80군데다. 언제든 터질 수 있는 분위기다.

포항에 있는 29개의 새마을금고 상당수도 부동산 브릿지론 등으로 대출을 했으나 아파트경기가 장기간 침체에 빠지면서 자금 회수가 제대로 되지 않을까 전전긍긍이란 소식이다.

포항의 모 금고는 시내 4곳에 지점을 추가 개설했으나 실적이 오르지 않고 오히려 경영위기에 몰리자 중앙회가 역내 다른 금고와의 합병을 진행 중이다.

대구 군위군 소재 모 금고는 64억원을 무담보 허위대출해 준 것이 중앙회 감사 결과 드러나 합병이 결정됐다. 또 부실대출 의혹과 관련해 경찰이 수사 중인 곳도 몇 군데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연말로 갈수록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면서 감독기관이 금융사고에 취약한 금고를 사전에 파악해 통폐합을 서둘러야 지금이라도 사고를 줄일 수 있다고 했다.

새마을금고 부실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경영인의 비전문성이나 느슨한 관리·감독, 허술한 내부통제 등의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사고가 나면 감사에 착수하는 등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 대응만 되풀이 해온 것이다. 금융감독원으로 감독권을 이양하는 등 근본적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기자수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