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순간과 기억

등록일 2024-09-02 19:18 게재일 2024-09-03 17면
스크랩버튼
인간인 우리 모두는 결말이 정해진 삶을 살고... /언스플래쉬

평생 잊지 못할 결정적인 순간이 존재한다는 것은 축복일까, 재앙일까. 구체적으로 어떠한 순간인지에 따라 답은 완전히 달라지겠으나 어찌 됐든 이와 같은 경험은 개인의 삶을 뒤흔들 수밖에 없다. 그것은 불시에 찾아와 순식간에 사라져 버린다. 찰나가 영원으로 남게 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언제였을까. 나의 마지막 순간에 떠오를 단 하나의 장면은 무엇일지 상상해 본 적 있다.

어쩐지 엉뚱할 것 같은데, 이를테면 바나나 껍질을 밟고 미끄러졌던 어느 오후의 부끄러움이나 정수리 위로 떨어진 새똥에 기겁하며 개수대를 향하던 뜀박질, 두려움을 이기지 못한 채로 자전거 타는 법을 포기하고 주저앉아 울먹이던 서러운 마음 같은 것. 이처럼 대단하지 않을 기억을 마주할 것으로 생각한 이유는 무엇일까. 사소한 순간이야말로 나를 구성하는 큰 힘이기 때문에, 그게 아니라면 내게 아직 결정적인 순간이 찾아오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필연적으로 어떠한 순간을 지나간다. 이를테면 지금 이 글을 읽는 독자는 다음 문장으로 도약하게 될 것이고 마지막까지 읽을 것인지 아니면 여기에서 멈추고 다른 페이지로 넘길 것인지의 선택에 따라 또 다른 순간으로의 진입이 가능해진다. 글을 읽고 식사를 하고 친구를 만나 대화를 나누거나 집으로 돌아와 샤워를 하는 것 또한 지나갈 순간이 된다. 이 모든 것은 허무하리만치 빠르게 우리 삶을 스쳐가지만, 동시에 아주 내밀한 곳에 남아 끈덕지게 맴돌기도 한다.

모종의 방식으로 선별된 어떠한 순간은 기억이 된다. 선별의 방식은 모두가 다를 수밖에 없다. 심지어 자의적인 것도 아니다. 그것은 감각의 영역이라 이성이 도무지 힘을 쓸 수가 없다. 사진을 찍거나 글로 남기는 것 또한 뭔가를 기억하기 위한 노력이다. 휘발되는 순간을 박제하려는 행위는 아주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온 인간의 욕망이기도 하다.

어떠한 순간이 소중하게 느껴질수록 아주 오랫동안 간직하고 싶다. 마음이 어두워지는 순간이 찾아오면 입안에 숨겨둔 사탕처럼 조금씩 녹여 먹을 수 있으니까. 우리의 인생은 되감기 버튼을 허용하지 않는다. 때문에 남은 흔적을 그러모아 후시녹음으로 살을 덧붙이면서 기억을 구성해 간다. 기억은 경험의 완벽한 재현일 수 없다. 개인의 견해가 조금씩 추가될 수밖에 없다. 같은 경험을 했다고 해서 같은 기억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남는 순간의 조각이 상흔일 때 우리는 본격적인 문제에 봉착한다.

삶에는 늘 기쁨과 슬픔이 함께 찾아오는 법이다. 거기서 떨어져 나온 조각이 우리의 내부를 휘저으면서 상처를 남기게 된다. 시간은 상처가 아물기를 기다려주지 않는다. 아픈 기억은 언제든 우리를 주저앉힐 준비가 되어 있다. 터널처럼 어둡고 긴 통로를 헤매다 보면 기억을 현실이라 착각하기도 한다. 그런 면에서 망각은 우리에게 주어진 놀라운 능력 중 하나다. 고통을 겪어본 적 있는 사람이라면 간절히 바라는 영역이기도 하다. 버튼을 누르는 순간 원하는 기억이 캄캄하게 사라졌으면 좋겠지만, 그럴 수 없다는 걸 모두가 알고 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대부분의 사람이 그렇듯 나 역시 이러한 기억이 있다. 떠올리기만 해도 촘촘한 바늘이 머릿속을 찌르는 기분. 덮어두기 위해 노력해도 뜻하지 않은 순간 불쑥 튀어 오르는 일을 몇 번이나 경험했다. 결국 나는 이것과 평생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걸 알게 되었다. 무엇보다 그것을 내 인생의 결정적인 순간으로 남기고 싶지 않았다.

내 뜻대로 기억을 삭제할 수 없다면, 있는 그대로 껴안으려고 노력하는 수밖에. 기억을 육체의 일부라고 생각한다면 어떨까. 하나씩 버리다 보면 종국에는 나 자신을 잃는 일이 되어버릴지도 모른다. 그러니 하나의 순간이 그저 그곳에 있음을 인정하고 살아가는 것이 현명한 삶의 태도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모두 결말이 정해진 삶을 살고 한정된 시간 속에서 각자의 이야기를 만들어 간다. 한 문단이 쓰이면 기필코 다음 문단이 등장해야 하는 법이니. 다음 순간을 위해 기억의 문을 닫고 나오려는 결단이 필요할 때가 있다.

어쩌면 이 모든 문장은 매 순간을 오롯이 누리지 못하는 나 자신에게 해주고 싶은 말일지도 모른다.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 그냥 그 순간을 즐겨! 과거의 내게 하고 싶은 말. 미래의 나 역시 지금의 내게 이 말을 건네고 싶겠지. 나를 구성하는 기억이 항상 아름다울 수만은 없겠지만, 어제와는 다른 내일의 순간을 기대하며 나아가는 가벼운 발걸음을 갖고 싶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