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보다 ‘별 다방’이 좋다. 아침부터 한밤까지 앉아있을 수 있다. 그 쓰고 독한 아메리카노는 ‘캐모마일아이스’로 바꾸었다. 창가에 앉으면 더 좋다. 2층 창밖, 행인들은 여유롭다. 과일 행상에 백열등이 노랗게 켜졌다.
쓰려면 자기만 쓸 수 있는 것을 써야 한다. 공부하려 해도 자기만 할 수 있는 공부를 해야 한다. 삶은 아침부터 밤까지 보람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저마다 주어진 시간, 남은 시간이 결코 길지 않다. 몇십 평이나 되는 스타벅스 2층에 두 사람, 세 사람씩 마주 앉아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저마다 자기 일에 몰두하고 있다.
어제, 그저께, 잡지에 보내온 장편소설 1부를 하루종일 교정했는데, 더 이상 손볼 수도 없고, 작가 의견도 전혀 달라서 결국은 겨울호로 미루기로 했다. 이틀 내내 다른 일 다 버리고 끙끙 매어달렸건만. 과일가게 아저씨가 금방 복숭아를 팔았는지 노란 백열등 아래서 지페를 세고 있다.
김남주 시인이 자꾸 떠오른다. 도대체, 바보스럽게, 남민전이 무어란 말이냐. 겨우 일 년 들어 있었다고, 9년 하고도 3개월씩이나 감옥살이를 하지 않았더냐. 그런데 그는 시인이었다. 다른 것보다, 하이네고 네루다고 마야코프스키고, 아라공이고, 푸시킨이고, 그는 다른 시인들을 진짜로 읽었다. 그들을 읽고, 읽었다고 이름을 기억하는 대신에, 자기는 어떻게 써야 하느냐고 생각했다. 작가, 시인은 제2의 현실을 사는 사람, 다른 이들이 써온 것들로 이루어진 것이 바로 그 현실이다. 날것으로서의 제1 현실 아니라 이 제2 현실을 날카롭게 의식할 때 진짜 시인이 된다. 방금 신호등이 바뀌었다. 푸른 신호등에 사람들이 분주하게 건너간다.
참, 자기는 정의롭다고, 옳다고 말하기는, 주장하기는 얼마나 쉬운 일이냐. 요즘은 다들 바빠서 그런 포즈 아래 숨어 있는 속셈을 탐정이 범인 찾듯 캐낼 수는 없는 노릇인 때문이다. 제기랄. 티비에 나와, 유튜브에 나와, 아니면 다른 이들 앞에서 자기는 정의롭다고 강변하면 다들 속고 만다. 한 겹짜리 가면 속에서 좋다고 웃는다. 그러는 사이에 참혹하게 괴롭힘 당한 사람은 오늘 차라리 죽어야 할까를 생각한다.
시를 이렇게까지 안 쓰고 있으면 안 되는데, 도대체 왜 이렇게 다른 일만 하고 있는 걸까. 읽는다 읽는다 하고 밀쳐 둔 소설도 미처 안 읽은 게 한두 권이 아니다. 재능은 그나마 시에 가까운데, 이렇게도 소설을 쓰고 싶은 것은 무슨 부조리, 모순이란 말이냐. 지난 주에는 나도향이 참 좋았지. ‘벙어리 삼룡이’, ‘물레방아’, ‘뽕’…. 겨우 스물세 살에 그런 대단한 삼부작을 쓰다니. 스물네 살에 아깝게도 세상을 떠난 사람.
처음에 생명체는 눈이 없었단다. 그러므로 목표가 없었단다. 눈이라는 게 생기고 나서 어디로 가야 할지, 무엇을 해야 할지가 생겼단다. 생명체 탄생 이후 한참 지난 후란다. 나는 어느 때나 눈뜨려나. 9시 13분. 별 다방 그만 괴롭히고 떠나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