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교육부가 글로컬대학30 사업의 2차 본 지정 결과를 발표했다.
글로컬대학30 사업은 대학 내·외부 벽을 허물고 지역과 산업계 등과 동반관계를 기반으로 대학과 지역의 동반성장을 이끌어 갈 대학 30개를 2026년까지 지정해 집중적으로 지원하며 국비 1000억 원을 지원한다.
지정대상이 소재지가 비수도권인 일반재정지원대학 또는 국립대학으로 지역에서는 대구한의대가 본 지정을 받아 2028년까지 경북도 250억 원, 경산시 500억 원, 청도군 100억 원, 영덕군 100억 원의 지방비를 부담해야 한다.
대구한의대는 글로컬대학30 사업선정으로 대학 강점 분야인 한의학의 과학화와 산업화, 세계화를 토대로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 산업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를 위해 경계 없는 교육혁신과 한의학 초 산업화 허브 조성, K-MEDI 글로벌 가치 창출 등의 3개의 혁신 과제를 추진한다. 하지만, 500억 원이란 지방비를 부담해야 하는 경산시민들의 입장은 글로컬대학30 지정이 마냥 반가울 수만은 없다.
현재 경산시의 재정자립도는 19.79%에 그치며 당장 지방비로 건설하기로 한 진량하이패스IC 등에 앞으로 선정될 공모사업에 따른 지방비 매칭으로 지방비를 지출해야 한다.
특히 10개 이상의 대학에 지금까지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경산시민들은 대학들이 시민들에게 돌려주는 혜택은 아주 미약하다고 느끼고 있어 글로컬대학30 선정은 대학에는 축하할 일로, 주민들에게는 시민들이 낸 세금을 먹는 하마로 다가온다.
특히 중앙정부가 추진해야 할 일을 지방에 일정 금액의 예산만 던져주고 나머지는 알아서 하라는 식의 스타일은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교육부는 글로컬대학30에 1차 선정된 대학들에 아직 제대로 된 국비를 지원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계획도 중요하지만, 실천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담당자들이 깨닫기를 바란다.
사업을 추진하는 대학도 세계화도 중요하지만 가장 가까이에 있는 지역민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세금만 먹는 하마로 인식되는 현실을 타개하길 바란다.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