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학진흥원, 경북문화자원 콘텐츠 발굴-활용사업 학술세미나<br/>각계 전문학자 8명 주제 발표<br/>봉정사 등 사찰 발간 주도 밝혀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지난 28일 대회의실에서 경북문화자원 콘텐츠 발굴 및 활용사업의 일환으로, 경북 지역의 전통 사찰에서 판각되고 인경된 서적들의 의의를 재조명하는 ‘경상도 전통 사찰의 출판·인쇄문화’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전통 사찰은 조선시대 이전부터 불서 출판과 판각 활동의 중심지로 기능해 왔다. 봉정사·부석사·운문사 등 경북의 유서 깊은 사찰에서는 불경을 비롯한 다양한 불서들이 출판됐다. 사찰에서 불서 간행을 주도한 승려들은 경전 출판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승려들은 불서 간행에 필요한 목판을 판각했고, 직접 각수로 참여하기도 하며, 불사에 필요한 자금을 모으는 데도 힘을 쏟았다.
이번 학술대회는 이러한 경상도 사찰의 출판문화가 한국 불교 문화사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그 역사적 의의를 재조명하기 위해 기획됐다.
학술대회에는 남권희 명예교수(경북대)의 기조강연을 비롯해 박용진(국민대)·이종수(순천대)·리송재(불교문화유산연구소)·박순(경북불교문화연구원)·최경훈(계명대)·석혜영(경북대)·임노직(한국국학진흥원) 등 전문학자 8명의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이들은 경상도 지역의 사찰에서 이뤄진 불서 출판 활동을 중심으로,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다양한 자료를 새롭게 조명했다.
특히, ‘고려시대 부석사 소장 삼본(三本) 화엄경(華嚴經)의 조성과 의의’를 발표한 박용진 국민대 교수는 “부석사에 소장된 60권, 80권, 40권 ‘화엄경’, 이른바 삼본 화엄경의 고려경판은 혼란스럽던 13세기 중엽 대몽항전기에 조성된 것이다. 이는 국난 극복을 기원하는 불서 간행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이러한 경판의 조성은 고려 불교문화의 유산으로, 부석사의 종교적 위상과 화엄종의 영향력을 반영한다”고 해 주목을 끌었다. /윤희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