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고교야구선수권대회 결승은 오후 1시에 플레이 볼! 고시엔 상공은 투명할 정도로 푸릅니다. 오늘도 더울 것 같군요.” 아다치 미츠루의 만화 ‘H2’ 마지막 장면이다. 쾌청한 여름 하늘의 뭉게구름으로 종이비행기가 날아가고 라디오에서는 고시엔 결승전을 예고한다. 고교야구 선수인 히로와 히데오 그리고 이들의 연인인 히카리의 미묘한 삼각관계 속에 찬란한 청춘의 열정을 그려낸 스포츠만화의 수작이다. “오늘도 더울 것 같군요”라는 캐스터 멘트는 등장인물들을 영원한 여름, 영원한 청춘에 머물게 한다.
일본 전국 고교야구선수권대회. 이른바 고시엔은 일본의 최대 스포츠 축제이자 모든 야구소년들이 꿈꾸는 무대다. 일본에서는 이 고시엔이 ‘여름’과 ‘청춘’의 뜨거운 상징이다. 약 3800개의 고등학교 야구팀 중 단 49개 팀만이 본선에 진출할 수 있다. 그렇기에 단 한번이라도 고시엔구장의 흙을 밟는 건 엄청난 영광이다. 경기에서 패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지 못한 소년들이 울면서 유리병에 흙을 담는 건 고시엔을 상징하는 장면이 되었다.
100여년 역사를 자랑하는 이 고시엔에서 일본 내 한국계 민족학교인 교토국제고가 우승했다. 전교생 130명의 작은 한국계 학교, 운동장이 작아 정상적인 타격과 수비 훈련을 할 수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 터진 야구공을 테이프로 감아 쓰면서도 선수들은 꿈을 위한 노력의 경주를 멈추지 않았다. 1999년 야구부가 만들어지고 몇 년 동안은 동네북 신세를 면치 못했지만 점점 실력이 늘어 창단 35년만인 올해 새 역사를 썼다. 연장 접전 끝에 2대 1로 승리한 간토다이이치고와의 결승전은 그야말로 야구의 정수였다.
그런데 박수만 받아도 모자란 이 위대한 승리는 곧장 한일 양국에서 정치적으로 소비되었다. 우승한 학교의 교가를 부르는 전통에 따라 교토국제고 선수들이 “동해 바다 건너서 야마토 땅은 거룩한 우리 조상 옛적 꿈자리”로 시작하는 한국어 교가를 부르는 장면이 일본 전역에 생중계됐고 한국 언론은 바로 그 한국어 교가, 그중에서도 ‘동해’라는 단어에 집중했다. 예민한 독도 문제를 포함해 반일감정을 드리우면서 교토국제고의 우승이 마치 일본을 정복하고 그들의 심장에 태극기를 꽂은 ‘한국의 승리’인양 보도했다. 일본에서도 일부 극우세력이 수치니 굴욕이니 혐한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교토국제고를 제명해야 한다는 여론 몰이를 했다. 어린 선수들이 보여준 땀과 눈물의 드라마를 낡은 민족주의에 사로잡힌 정치병자 어른들이 더럽힌 것이다.
하지만 혐한은 일부일 뿐 일본 국민 대부분은 교토국제고의 우승을 축하하며 차별과 혐오를 멈추라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교토는 축제 분위기다. 지역 언론은 호외까지 발행해 우승 소식을 알리고, 상인들은 우승 기념 할인 행사를 준비하는 중이다. 일본 최대 포털사이트인 야후는 ‘교토국제고’를 검색하면 “우승 축하해”라는 메시지가 팝업으로 띄워지도록 했다. “세상에는 다양한 생각이 있다. 비판 받는 것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야구를 위해 이 학교에 들어왔다”는 교토국제고 야구부 주장 후지모토 하이키 군의 말에는 울림이 있다. 야구부원 61명 중 한국계 학생은 단 세 명뿐이다. 일본인 학생들은 오직 야구를 위해 이 학교에 왔다. 한국어 교가를 바꾸는 것을 반대한 것도, 경기장에서 “동해 바다”를 힘차게 외친 것도 일본인 학생들이다.
한국에 고시엔과 같은 대회가 있고 일본계 국제학교가 출전해 우승을 차지했다면 어떻게 될까? 한국 소년들이 서울 한복판에서 가령 “후지산의 태양 찬란하다”로 시작하는 일본어 교가를 부르는 일이 가능할까? 광복절에 열린 프로야구 경기에 일본인 선수의 출전을 반대한 일부 팬들의 비난으로 두산 베어스 시라카와 게이쇼는 선발투수로 등판하지 못했다. 식민 지배를 한 국가와 당한 국가의 역사적 정서는 다를 수밖에 없고, 반일에는 과거사를 바로 잡자는 나름의 응당한 논리도 있다. 하지만 아이들의 스포츠를 어른들의 전쟁으로 만들 필요는 없다.
우리는 농구 만화 ‘슬램덩크’에 열광하면서 등장인물인 강백호와 서태웅의 청춘 서사에 감동하지만 그들의 원래 이름이 사쿠라기 하나미치, 루카와 카에데라는 사실은 잊는다. 교토국제고의 남학생들은 야구를 위해, 여학생들은 한류에 대한 호감으로 입학했다. 한국 인디음악의 명곡인 델리스파이스의 ‘고백’은 만화 ‘H2’를 모티브로 해 만들어졌다. 정치가 과거에 붙들린 사이 대중문화와 스포츠는 양국의 가교 역할을 하며 더 나은 미래로 우리를 데리고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