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대구시는 구한말 국채보상운동의 구국정신과 1960년 2·28 민주화 운동, 1960년대 박 전 대통령의 산업화 정신을 대구근대 3대정신으로 선정한 바 있다.
문제는 박정희 광장 표지석 설치에 대해 민주당 대구시당이 불법이라며 홍준표 대구시장을 검찰에 고발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대구시당의 고발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국회 국토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다시 꺼내 정쟁화로 이끄는 분위기다. 표지석 설치가 국토부 등과 협의 없이 설치된 점과 명칭변경은 역명에 따르게 돼 있는 관리지침을 위반한 것이라며 이 문제를 따진 것이다. 그러나 박정희 광장 명명 등의 문제는 지역여론 등을 살펴 지자체가 판단할 영역이 많다는 점에서 중앙 정치권의 개입은 적절치 않다. 지방자치 정신에 기초한 자치단체의 판단이 우선시 돼야 한다는 뜻이다. 홍 시장은 박 전 대통령 표지판 설치와 관련 “목포나 광주에는 김대중 대통령의 동상과 공원, 기념관이 많다”며 “역사적 인물에 대한 공과를 논할 때는 과만 보지말고 공도 기리는 그런 세상이 됐으면 한다”고 밝했다.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박정희 광장 명칭과 동상 건립에 시민의 70%가 긍정적 답변을 했다.
민주당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2014년 지방선거 때 박정희컨벤션센터 건립을 공약으로 내세운 적 있다. 지금 와서 민주당의 입장이 달라진 지 모르나 박정희 광장 명명을 두고 민주당이 시비 거는 것은 이념공세를 통해 정쟁화하려는 의도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절차가 잘못됐다면 고치면 되는 것이다. 박 전 대통령 사업으로 고발을 일삼는 것은 시민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