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앙팡 테러블

등록일 2024-08-13 18:20 게재일 2024-08-14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스포츠나 연예계 등에서 나이가 어린대도 당차게 차고 나오거나 엄청난 기대를 할 만큼의 유망주가 등장하면 ‘앙팡 테러블(무서운 아이)’이라 한다. 직역하면 무서운 아이들이란 뜻이다.

논어에 나오는 사자성어 가운데 후생가외(後生可畏)란 말도 있다. 후배들이 선배들보다 젊고 기력이 좋아 학문을 닦음에 있어 큰 인물이 될 수 있으므로 가히 두렵다는 뜻이다. 공자의 이 말 본뜻은 젊은이의 무한한 가능성을 염두에 둔 말로 보통 해석한다.

파리 올림픽에서 우리나라가 예상을 뒤엎고 역대 최상급 성적을 올려 화제다. 당초 5개로 예상했던 금메달을 13개나 땄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012년 런던 올림픽과 맞먹는 성적을 올려 1978년 몬트리올 올림픽 이후 가장 작은 규모 선수가 출전해 가장 좋은 성적을 올린 대회로 기록됐다.

파리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올린 배경에 대해 전문가들은 2000년대생들의 겁없고 거침없는 활약이 큰 힘이 됐다고 했다. 10∼20대 선수들이 한계에 도전하는 열정과 용기만으로 보는 이에게 신선한 충격이었다는 것이다.

이번 대회 메달리스트 44명 가운데 24명이 2000년대 이후 태어난 선수들이다.

사격에서 금메달을 딴 반효진은 현재 고교에 재학 중인 16살 선수. 양궁 3관왕 위업을 달성한 임시헌은 21살, 배드민턴의 금메달리스트 안세영은 22살. 등등이다.

무서운 아이들의 반란이 있을 때마다 국민의 눈과 귀는 즐거웠다. 승패보다 올림픽 무대를 즐기는 듯한 긍정적 태도에서 기성세대와는 다른 신선함을 느꼈다는 것이다. 짜증나게 하는 우리 정치판에도 앙팡 테러블이 등장했으면 좋겠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