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산업을 “굴뚝없는 공장”에 비유한다. 생산하는 공장이 없어도 고용창출 효과를 낼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이기 때문이다. 또 관광은 보이지 않는 무역이라 하여 외화획득의 첨병으로 인식된다. 국제친선과 문화교류, 국위선양의 효과도 관광의 장점이다.
태국은 관광산업 비중이 GDP의 21.9%다. 그리스도 비슷해 유네스코 문화유산 덕에 관광산업으로 국민이 먹고산다 해도 무방하다 할 정도다.
그러나 관광산업이 이렇게 꼭 장점만 있는 것일까. 많은 도시들이 관광산업 진작을 위해 자국의 문화유산과 천연자원을 홍보하고 외국인 관광객 모시기에 열중이나 생각만큼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최근 유럽의 유명 관광도시에서 관광객 방문을 거부하는 시민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선 이곳을 찾은 관광객에게 물총을 쏘며 도시를 떠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 관광객을 위한 도시보다 지역민을 위한 도시를 원한다는 게 이유라 한다.
한해 수 천만명의 관광객이 찾는 바로셀로나에선 관광객 수용을 위해 주거용 주택이 숙박시설로 바뀌면서 집값 상승 등의 부작용이 많이 일어난다고 한다.
이탈리아 베네치아는 관광객이 넘쳐나면서 물가가 올라 어느날 주민들이 하나둘 떠나 한때 13만명에 달했던 도시인구가 5만명으로 줄었다. 정부가 관광객에게 도시 입장세를 물리기로 했으나 도시를 떠난 주민들을 돌아오게 하기에는 뒤늦은 조치다.
오버투어리즘은 외국인 관광객의 과잉 유입으로 지역주민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유럽의 유명관광지에서 빚어지는 오버투어리즘을 어떻게 볼 것인가. 관광산업을 지향하는 우리에게 반면교사할 점은 없을까.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