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이 바로 입추(立秋)다. 입추는 24절기 중 13번째 절기며 대서와 처서 사이에 있다. 양력으로 8월 7일 내지 8일이 입추가 되는 날이다.
중국 화북지방의 날씨를 기준으로 24절기가 만들어져 우리나라와는 약간의 기후 차이가 있다. 입추가 가을의 시작을 알린다고 표현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을을 느낄 수 있는 시기는 처서 때다.
14번째 절기인 처서는 8월 22일과 23일에 든다. 올여름은 14일 말복을 지나 22일이 처서다.
우리 조상들은 처서를 “땅에서는 귀뚜라미 업고 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고 말했다. 여름이 가고 가을이 옴을 빗댄 표현이다. 입추와 처서라는 말을 들으면 누구나 이제 폭염도 기세가 한풀 꺾일 것으로 보는 기대감이 있다.
요즘 날씨를 보면 기세가 꺾일 것 같지 않아 걱정이다. 기상청도 “지금의 무더위가 이달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입추인 7일의 대구경북의 기온은 최고 31∼36℃로 예상된다. 작년 입추 날의 기온은 37.8℃로 역대 입추 날 날씨로는 신기록을 세웠다.
“봄이 와도 봄같지 않다”는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은 당나라 시인 동방규가 오랑캐인 흉노족 왕에게 시집간 중국 절세미인 왕소군의 딱한 처지를 생각하며 부른 시의 한 구절이다.
경우는 다르지만 입추와 처서가 와도 더위가 떠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 지금의 날씨가 “가을이 와도 가을 같지 않다”는 말로 표현하면 틀리지 않다.
지속되는 찜통더위로 전국에서 온열질환자가 속출하면서 최근 사흘사이 6명이 숨지는 일도 벌어졌다. 추래불사추(秋來不似秋)가 바로 지금이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