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 내를 잘 관리하고 돌봐서 가뭄이나 홍수 등의 재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을 치산치수라는 말로 표현한다.
오로지 하늘에서 내리는 비와 햇빛, 기온 등 기후에 의존해 농사를 짓던 옛날에는 치산치수를 잘하는 왕이 바로 성군 대접을 받았다.
고대 중국에서는 황제의 가장 큰 덕목의 하나가 치산치수 능력이다. 황하강처럼 큰강이 많은 중국은 홍수로 범람이 잦아 완벽한 치수가 곧 민심을 얻는 일이었다.
고대 중국에서 치산치수를 잘한 임금으로 소문난 왕은 우(禹)임금이다. 우임금은 순(舜)임금 밑에서 치수를 잘해 순임금으로부터 임금의 자리를 물러 받았다. 우임금은 13년동안 치수를 하면서 한번도 집에 들어가지 않았다는 일화가 있다.
천수답 위주로 농사를 짓던 우리나라도 비슷하다. 오랫동안 비가 내리지 않으면 왕이 기우제를 올린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비가 오지 않으면 기우제를 지내는 것은 똑같다. 가뭄이 계속되고 농작물이 말라 죽어가고 굶어죽는 사람까지 생겨나니 기우제를 지내지 않을 왕이 없다.
미국 애리조나 사막의 인디언들은 비가 올 때까지 기우제를 지내는데 이를 인디언식 기우제라고 한다.
우리나라 산지와 하천은 가파르고 짧아 상류지역에서 물이나 토석의 유출이 하류지역의 물 이용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특히 국토의 63%가 산지여서 적극적인 산지 관리가 필요한 지형이다.
환경부가 전국에 14개의 기후대응댐을 조성하기로 했다. 지구촌의 이상기후로 발생하는 가뭄과 홍수에 대비하자는 것이 조성 취지다. 치산치수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자연환경 파손을 최소화하는 것이 숙제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