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몽클레어 패딩과 부모 노릇

등록일 2024-07-29 18:06 게재일 2024-07-30 19면
스크랩버튼
홍성식 (기획특집부장)
홍성식 (기획특집부장)

한국인의 과도한 ‘명품 사랑’이 유럽 사람들의 입길에 오르내린 게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프랑스나 이탈리아 명품 판매점 앞엔 한국인 구매자를 대신해 줄을 서주는 아르바이트까지 있다고 한다. 한국 백화점 역시 새로운 명품의 출시가 예고되면 전날 밤부터 백화점 앞이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룬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명품 사랑의 바람’이 아이들에게까지 불어 닥친 모양이다. 최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의 보도를 짤막하게 인용해보자.

‘경기도 동탄에 거주하는 김OO씨는 4살 딸을 위해 티파니에서 78만원대 은목걸이를 구입했다. 18개월 된 딸을 위해선 38만원대 골든구스 구두를 샀다. 몽클레어 패딩과 셔츠, 버버리 드레스와 바지, 펜디 가운과 신발 등 다른 명품도 다수 구매했다. 김씨는 아이들이 결혼식, 생일 파티, 콘서트에 갈 때 초라해 보이지 않길 바란다며…’

비단 영국 신문이 만난 동탄의 김씨만은 아닐 것이다. 몇 해 전엔 100만원이 훌쩍 넘는 패딩을 중학교 한 학급의 절반 이상이 입고 다닌다는 기사와 그로 인한 신조어 ‘등골 브레이커(부모의 경제력을 넘어서는 물건을 사달라고 조르는 아이)’까지 등장한 게 한국이니.

중학생 딸을 둔 후배와의 술자리. “친구들은 다 입고 다니는데, 왜 나는 안 사주냐고 우는데…. 부모 노릇이 이렇게 힘들 줄 몰랐어요.” 후배의 우울한 얼굴을 마주 보기가 딱했다. ‘몽클레어 패딩’과 ‘부모 노릇’이 그런 방식으로 연결될 줄은 몰랐다.

‘차려입은 옷과 손목에 찬 시계, 타고 다니는 자동차로 인간을 판단해선 안 된다. 사람에게 중요한 건 도야된 인품과 고상한 내면’이란 말이 헛소리가 돼버린 2024년 오늘이 서글프다.

/홍성식(기획특집부장)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