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단종과 계유정난(癸酉靖難)

등록일 2024-07-22 19:38 게재일 2024-07-23 19면
스크랩버튼
홍성식 (기획특집부장)
홍성식 (기획특집부장)

왕조시대. 왕의 손자로 태어났다는 건 금수저를 물고 세상에 나온 정도가 아니었다. ‘다이아몬드 수저를 물었다’고 해도 감히 누가 이견(異見)을 내놓을까? 그것도 조선 초기 최고의 성군(聖君)으로 불리는 세종의 손자였다.

본명 이홍위(李弘暐), 우리에겐 단종(端宗)으로 더 익숙한 조선의 6대 왕. 583년 전 오늘인 1441년 7월 23일은 단종의 음력 생일.

할아버지 세종과 아버지 문종(조선의 5대 왕)의 귀여움을 독차지했던 어린 시절의 행복은 짧았다. 단종도 모르고, 조부와 부친도 몰랐으며, 백성들 누구도 알지 못했다. 겨우 만16세에 숙부 수양대군(조선의 7대 왕 세조)에게 죽임을 당할 줄은.

‘비운의 소년 왕’으로 불리는 단종은 최고 권력자들의 축복 속에서 태어났지만 외로움은 그에게 숙명과도 같았다. 모친 현덕왕후는 산후 후유증으로 사망했고, 조부 세종과 조모 소헌왕후도 단종이 아이였을 때 세상을 떠났다. 아버지 문종 역시 병약했고 마흔이 되지 못하고 죽었다.

겨우 열 살에 왕위에 오른 단종. 아직은 후견인이자 보호자가 돼줄 사람이 필요한 나이였다. 아버지 때부터의 신하였던 김종서와 황보인 등 원로대신이 곁에 있었으나 결국은 혈족이 아닌 남.

수양대군은 문종의 동생이다. 그러니, 단종은 수양의 조카. 옹알이를 하고 걸음마를 시작하는 단종을 형 문종과 함께 보며 너털웃음을 터뜨렸을 몹시 가까운 혈족인 숙부라는 이야기. 그러나, 권력을 틀어쥐고 독점하기 위한 역사 현장은 살벌했다. 피붙이고 뭐고 없었다.

1453년 ‘계유정난’으로 단종을 보호하던 신하를 모조리 숙청한 수양대군은 4년 후엔 조카까지 죽인다. 때론 왕조의 역사가 눈물겹고 서글프다.

/홍성식(기획특집부장)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