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work)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신체적 또는 정신적 에너지를 사용하는 활동이다. 기업에서 보면, 고객이 가치를 인증해서 돈을 지불 할 수 있는 사람의 행위와 설비의 동작을 말한다.
현대인의 삶은 일이 곧 생존이기에 일과 함께 살아가는 것이 순리다. 일과 학습 속에 개인의 성장이 있고 자아실현과 사회적 정체성을 갖는 것이다. 현대인은 일을 선택 할 때 내가 좋아하는 것, 잘 할 수 있는 것, 미래의 내 꿈과 연결되는 것을 선택하면 좋은 삶으로 가는 길이 된다. 일은 어떻게 하는 것이 가치 있고 행복하게 하는 것일까.
일은 성공과 실패로 나뉜다. 성공과 실패의 결과 차이는 크지만 과정은 작은 차이에서 결정된다. 일에는 애정이 있어야 하고 테크닉의 문제보다 태도가 좌우한다. 일은 제대로 해야 낭비가 없다. 사소한 일에서 결정적인 실수가 나온다. 옛 성현들은 ‘눈은 큰 곳을 바라보되 손은 작은 곳에 두라’ 라고 말했다. 1퍼센트 실수는 100퍼센트의 실패를 가져온다. 생산자가 미처 해내지 못한 1퍼센트는 소비자의 손에서 100퍼센트 불합격으로 변한다.
일은 시간의 길이로, 땀의 양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창의적인 지혜로 고객이 원하는 가치 있는 일을 창출하는 것이다. 한 농촌에서 두 농부가 벼를 베었다. 한 사람은 허리 펴는 법이 없이 열심히 베었다. 다른 한 사람은 중간에 논두렁에 앉아 노래까지 하면서 쉬기도 했다. 쉬면서 일 한 농부가 베어 놓은 볏단이 많았다. 알고 보니 쉬면서 낫을 갈아 지혜롭게 대응한 것이다.
일의 성공 조건은 첫째, 명확한 목표 설정이다. 목표가 분명해야 일을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다. 목표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해야 한다. 둘째, 효율적인 계획수립이다. 자원 배분, 시간 관리, 우선 순위 등이다. 셋째, 적절한 자원이다. 인적, 물적, 시간적 자원이 확보되어야 한다. 넷째, 능력과 기술이다. 일을 수행하기 위한 관련 지식과 기술, 경험이 필요하다. 다섯째, 동기부여이다. 일을 지속적으로 추진 할 수 있는 내적, 외적 동기가 필요하다. 여섯째, 문제해결능력이다. 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일곱째, 평가와 피드백이다. 일의 진행 상황을 평가와 피드백 하며 목표 달성하도록 조정해야 한다.
직장인의 행복한 삶은 기업이 일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개인의 성장 비전을 제시해주고 업무 목표와 기대 사항을 설정하여 역할과 책임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 기회를 제공하고 소통과 협력의 긍정 조직문화를 열어 창의성을 십분 발휘 할 수 있게 한다. 성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와 적절한 보상,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시대 흐름에 맞게 시간 탄력근무제 등 유연한 근무 환경과 개인의 삶과 업무 사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워크-라이프 밸런스를 갖출 수 있게 한다. 일의 보람과 직원이 성장하는 기업문화는 회사 발전은 물론 이직률을 줄이고 일류 기업이 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