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먹사니즘

등록일 2024-07-11 19:53 게재일 2024-07-12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1992년 미국 대선 때 빌 클린턴은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라는 말로 상대후보 조지 부시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대표 출마 선언문에서 밝힌 ‘먹사니즘’을 보면 빌 클린턴의 이 문구가 떠오른다. 대선 출정식을 방불케 했다는 그의 출마 선언에서 밝힌 먹사니즘의 핵심은 한국경제의 난국 타개다.

먹사니즘은 먹고 살다와 이념을 의미하는 영어 접미사 ism이 합쳐진 말. 생계 유지에 급급해 다른 것들에 대해 신경 쓸 틈이 없는 저소득 서민의 생활을 이르는 표현이다.

2000년대 이후 경제가 팍팍해지면서 젊은이 사이에 유행한 말로 경제가 잘 돌아가야 국민의 지지를 얻을 수 있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누가 권력을 잡든 등 따뜻하고 배부르면 불만이 없다는 말이다. 공자가 백성을 풍족하게 하는 것이 정치도리라고 한 것과 통하는 말이다.

최근 유럽에서 부는 극우 바람 역시 먹사니즘과 연관이 있다. 민족주의에 기반을 둔 극우 정당은 이민정책과 같은 국익에 반하는 정책은 반대다. 나만 잘살면 된다는 자국 우선주의의 큰 흐름이다. 유럽연합의 창립을 주도한 독일, 프랑스 등에서도 극우 바람이 거센 것은 국민이 느끼는 경제가 그만큼 나쁘다는 뜻이다.

이 전 대표는 “경제가 곧 민생”이라며 먹사니즘을 유일한 이데올로기로 지목했다. 먹사니즘 해결로 민심을 얻겠다는 정치적 포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문제는 탄핵정국을 둘러싼 정부 여당과의 극심한 대립 상황에서 야당만이 경제를 살리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먹사니즘 해결을 위해선 정부 여당과의 협치는 필수다. 그렇지 않으면 먹사니즘도 공허한 말에 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