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팔열지옥 올여름 최고의 피서법은?

등록일 2024-07-08 18:14 게재일 2024-07-09 19면
스크랩버튼
홍성식 (기획특집부장)
홍성식 (기획특집부장)

일찍 찾아온 더위의 기세가 무섭다. 거리를 걸을 때는 물론, 방에 가만히 있어도 목덜미로 땀이 흐른다.

오죽하면 나이 지긋한 분들이 올해 초여름 무더위를 팔열지옥(八熱地獄)에 비교할까. 팔열지옥이란 등활지옥, 흑승지옥, 중합지옥, 규환지옥, 대규환지옥, 초열지옥, 대초열지옥, 무간지옥 등 뜨거운 불길에 고통 받는 여덟 가지 지옥을 지칭하는 단어. 지금 날씨가 벗어날 수 없는 수난의 공간처럼 무시무시하다는 이야기다.

폭염이 이어지는 날이면 우리네 조상들은 여러 가지 피서법을 사용했다. 그중 한 방법이 이른바 ‘보양식 먹기’다. 닭을 인삼 등 각종 약재와 함께 푹 삶은 계삼탕이 흔했고, 세도가에선 큼직한 민어와 영지버섯을 복달임으로 먹었다. 서민들은 개를 잡아 부족한 단백질을 보충하기도 했고.

현대인이 ‘여름휴가’를 통해 시원한 강변과 해변으로 여행을 떠나듯 수백 년 전 사람들도 풍광 수려한 산이나 골 깊어 서늘한 계곡으로 삼삼오오 원족(遠足)에 나서기도 했다.

2년 전 세상을 등진 소설가 김성동(1947~2022)은 매우 점잖은(?) 피서 방식을 택한 것으로 문단에서 이름이 높았다. 그는 “여름엔 동즉손(動卽損)이니, 가만히 있어라”고 후배들에게 일렀다.

동즉손?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손해’라는 뜻이다. 실제로 김성동은 여름이면 하루 종일 낡은 선풍기 돌아가는 서재에서 책을 읽곤 했다. 강이나 바다로 여행가는 경우가 극히 드물었다. 이를 ‘안동 김씨 양반다운 피서법’이라 불러야 할까.

그런데 글 써서 생계를 해결하는 작가가 아닌 몸으로 벌어먹는 이들은 이 악랄한 더위에도 움직이지 않을 도리가 당최 없으니… 참으로 가혹한 여름이 아닐 수 없다.

/홍성식 (기획특집부장)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