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간송미술관

등록일 2024-07-04 19:51 게재일 2024-07-05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간송(澗松)은 문화재 수집가 전형필(1906∼1962)의 아호다. 일제 강점기 시절, 전형필은 조상 대대로 한양의 종로 상권을 장악하고 있던 우리나라 최고 부잣집 아들이었다.

당시 전형필 집안의 재산은 논 4만 마지기 정도됐다는데, 지금으로 계산하면 약 800만평 규모 논이다. 여기서 나오는 순수익만 연간 15만원 정도. 당시 서울의 큰 기와집 1채 가격이 1000원 하던 시절이었으니 그의 재산 규모를 짐작하고도 남는다.

그는 기와집 한 채가 1000원하던 시절 5000원으로 그림 한 장을 사고, 2만원으로 도자기 한병을 샀다. 모두가 집안 살림을 축내는 이상한 사람으로 보았으나 오로지 문화보국 정신 하나로 고물품들을 사 모았다. 1938년 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미술관이자 지금 간송미술관의 전신인 보화각을 설립한다.

간송미술관에는 훈민정음 해례본,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신윤복의 미인도 등 국보 12점과 보물 32점이 보관돼 있다. 비록 사립미술관이지만 소장 중인 유물의 내용과 가치는 어느 박물관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다. 특히 잠재적으로 지정 가치를 지닌 일반 문화유산도 많은 것으로 전해져 있다.

대구간송미술관이 9월 개장한다. 간송미술문화재단의 지역 최초 분관이라는 점에서 시민의 관심이 크다. 9월 초 개관기념 전시회를 시작으로 앞으로 간송미술문화재단이 보유하고 있는 각종 문화유산 등이 상설 전시될 예정인데 대구시의 새로운 명소로도 부상할 전망이다.

특히 대구시민에게는 간송 재단 보유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가까이서 관람할 수 있는 문화혜택의 기회가 생긴다는 면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