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북구의 유명 음식점인데 지역사랑상품권을 안 받아요. 그뿐이 아닙니다. 바로 인근 줄 서서 먹는 물횟집도 상품권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포항사랑상품권 취재는 한 지인의 제보로 시작됐다. 우선 사실관계가 납득이 되지 않았다. 지역 상품권은 사실상 현금 유통과 같은 효과가 있고 수수료가 붙지 않아(있다 하더라도 정부, 지자체가 모두 보전해준다) 점포주들이 거부할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포항시 경제노동과에 사실 관계 확인을 위해 메일을 보냈다. 1시간도 안 돼 이상현 과장이 직접 전화를 걸어왔다.
이 과장은 “지역 상품권 제도는 지역 소상공인, 전통시장을 육성하고, 지역 자금 역외(域外)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인데, 이 취지를 거스르는 점포가 있다면 강력하게 단속하겠다”며 “점포 실명을 제보해 주면 가맹점 취소 등 행정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여전히 의문은 남았다. 사실상 현금과 다름이 없어 매출, 소득 증대와 직결되는 상품권을 점포주들이 기피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상품권(지류형)을 모아서 현금화하는 과정이 너무 번거로운가?, 카드, 상품권을 받으면 매출, 소득이 노출돼 세금 문제가 따르나? 의문을 제기하니, 이 과장은 ‘그런 일조차 귀찮다면 장사 그만 둬야죠’ 하며 그 사례는 없을 것이라며 일축했다.
한 경제관료와 기자와의 신경전은 10분 후 걸려온 전화 한 통화로 모두 일단락 됐다.
“한 기자, 작년에 연 매출 30억을 초과해서 지역 상품권 가맹점에서 제외된 곳이 몇 곳 있는데, 아마 그 식당들인 것 같습니다.”
포항시는 점포들이 연간 매출이 30억을 넘어서면 가맹점에서 탈퇴시켜, 그 효과가 영세상인들에게 내려가도록 한다는 것이다. 보통 병원, 주유소 등이 대부분이지만 유명 식당, 횟집들도 상당수 포함된다는 것.
이로써 모든 오해는 풀렸다. 그런데 정작 지역 상품권이 ‘거부’되는 곳은 따로 있었다. 바로 전통시장의 영세상인이나 노점의 어르신들이다. 이분들은 대부분 카드 단말기가 없거나, 있어도 작동이 서툴러 사용을 기피하는 분들이 많다는 것.
디지털 문외한인 이들에게 웹(Web)이나 온라인 결제 등은 말그대로 그림의 떡이다. 그렇다 보니 노점들은 대부분 종이상품권만 취급할 수밖에 없다. 소상공인 보호, 지역 경제 공동체 회복이라는 상품권 제도 취지가 왜곡되고 있는 것이다.
“저희들이 노점에 계도를 나가면 ‘웹, 단말기, 그거 알아야 쓰지’ 하며 그냥 해오던 대로 하겠다고 하십니다. 그래도 어쨌든 단말기 설치까지는 지도를 하려고 합니다. 이것만 도입돼도 지역 상품권의 낙수(落水)가 이 어르신들에게 훨씬 많이 내려갈 수가 있으니까요.”
연 매출 ‘30억 클럽’과 디지털 문맹인 노점 어르신, 그 간극에서 포항사랑상품권의 접점과 방향이 정해져야 할 것 같다.
/arira6@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