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자 호암 문일평(188 8~1939)은 “그 사람이 궁금하거든 그가 먹는 음식을 보라”고 했다. 이 말은 사람의 음식 취향이 성격이나 인품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게 하는 열쇳말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일 터.
비단 음식뿐일까? 인간의 됨됨이와 품격을 은연중에 알아차릴 수 있게 해주는 것 중 또 다른 하나가 바로 그가 사용하는 ‘언어(말)’가 아닐지.
세칭 ‘쌍시옷’을 입에 달고 사는 성직자를 상상하기 어렵고, 장자(莊子)를 인용하는 조직폭력배를 만나 보기 어려운 것처럼.
전직 대통령 아내의 ‘인도 방문’을 두고 갖가지 구설이 떠돌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논란 또한 이어지는 상황. 이 문제를 놓고 설전을 벌인 여당과 야당의 여성 국회의원 이름이 신문과 방송에 자주 오르내렸다. 국민의힘 배현진과 더불어민주당 고민정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 아내의 인도 방문에 얽힌 의혹 제기 선봉에 선 배현진 의원을 향해 고민정 의원이 “제시한 자료 검증의 부실함을 인정하고, 더 이상의 경거망동은 하지 않아야 한다”고 일갈했다. 고 의원은 인도 방문 동행자 중 한 명이다.
배 의원이 발끈했다. “동료의원으로서 예우해줄 때 입을 곱게, 경거망동을 자제하길 바란다. (관련된)문서 이해가 잘 안 되면 밑줄이라도 치며 읽어라”고 치받은 것.
두 사람이 공히 사용한 경거망동(輕擧妄動)이란 사자성어는 생각 없이 아무렇게나 행동하는 걸 의미한다. 아이도 아니고 다 큰 성인을 향해 ‘생각이 없다’니…. 보기에 따라선 대단히 모욕적인 언사다.
의견이 다를 땐 논쟁할 수 있다. 그러나, 가시 돋친 맹목적 힐난과 배려가 담긴 점잖은 충고는 분명 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을까?
/홍성식 (기획특집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