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기후 위기가 현실로

등록일 2024-06-16 18:45 게재일 2024-06-17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기후 인플레이션이란 용어를 자주 접하는 시대다. 기후와 인플레이션을 합친 이 용어는 기상 이변과 지속되는 지구온난화가 빚어낸 인플레이션을 의미한다. 즉 기상이변으로 농산물 가격 등이 폭등하면서 경제 전반에 미치는 악영향의 인플레이션이다.

먹거리 물가를 위협하는 기후 인플레이션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국민 과일로 불리는 사과와 수박 등의 수확량이 줄면서 신선식품의 물가지수가 소비자물가 인상을 크게 자극하고 있다.

독일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는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탄소배출로 2050년쯤에 가서는 전세계 소득율이 19% 감소할 것이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소득감소 규모가 무려 38조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지금 지구촌은 기상이변이 빚은 폭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올여름은 엄청난 무더위가 전 세계를 덮을 것이란 전망 속에 일부지역에서는 벌써부터 이른 폭염으로 일상이 혼란에 빠지고 있다.

중국 북서부 신장지역은 지표면 온도가 70도로 치솟아 맨발로 걸으면 화상을 입을 정도라 한다. 그리스, 튀르키예 등지에는 40도가 넘는 폭염이 연일 이어지고 스페인에서는 폭염으로 주요 관광지가 폐쇄되는 일도 벌어졌다.

우리나라도 6월 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지난봄 기온이 역대 두 번째로 높았고 바다는 10년 새 가장 뜨거웠다고 한다. 지난 10일 대구에서는 첫 불볕더위주의보가 내려졌는데 예년보다 일주일이 빨리 찾아온 것이다.

화석연료 기반의 산업혁명은 전례 없는 산업발전을 이룩했지만, 결과를 놓고 보면 인류에게 기후위기라는 무서운 재앙을 가져다준 꼴이다. 올여름 닥칠 역대급 폭염 소식이 기후 위기를 절실히 느끼게 한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