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골과 다혈질로 유럽에서 유명한 아일랜드 사람들. 그런 성정과는 무관하게 그 나라엔 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린 예술가가 많다.
‘더블린 사람들’로 데뷔한 제임스 조이스, ‘부조리극의 황제’로 불리는 사무엘 베케트, ‘빅토리아 시대 최고 예술가’라는 왕관을 쓴 오스카 와일드, 비단 문학 분야만이 아니다. 대중가수인 U2의 보노와 시네이드 오코너는 수천만 장의 앨범을 판매한 스타 중 스타.
언급된 유명인들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아일랜드 시인이 또 한 명 있다.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1865~1939). 159년 전 오늘은 예이츠가 태어난 날이다.
19세기 영국·아일랜드 문학사(文學史)의 기린아로 기록된 그는 유년기부터 신화와 기괴한 전설 등 초현실적 주제에 집착했다. 이런 성향은 예이츠의 문학 활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탐미주의에서 사실주의로 변모한 그의 시는 1923년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예술성을 인정받았고.
“뛰어난 감각과 통찰력을 지닌 시인은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까지 가졌다”는 이야기가 오래 전부터 세간을 떠돌았다. 1920년. 예이츠는 마치 예언 같은 시를 쓴다.
‘모든 것이 파괴되고 중심은 무너졌다/혼돈만이 지상에 만연하다/세상엔 핏빛 물결이 번지고…’
예이츠는 이미 104년 전에 오늘의 지구를 바라본 듯하다.
끝날 기미가 없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하루에도 수십 명의 아이들이 죽어가는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 이상 기후로 인한 폭염과 폭우 피해, 오직 돈만을 좇으며 청맹과니처럼 돌진하는 무뢰한들….
‘모든 것이 파괴되고 중심이 무너진 2024년 지구’를 경계했던 예이츠의 예언이 틀렸기를 바랄 뿐이다.
/홍성식(기획특집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