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염치없는 세상

등록일 2024-06-11 18:22 게재일 2024-06-12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염치(廉恥)란 체면을 차릴 줄 알고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이다.

사람으로서 누구나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마음의 자세를 이르는 말이다. 우리는 상대에게 정중히 부탁을 할 때 염치불고(廉恥不顧)라는 표현을 쓰는데, 이는 염치를 돌아보지 않고 부탁을 드린다는 뜻이다.

염치가 없는 상태를 몰염치(沒廉恥) 또는 파렴치(破廉恥)라 부른다. 후안무치(厚顔無恥)는 낯가죽이 두꺼워 뻔뻔하고 부끄러움이 없다는 말이다. ‘염치 있는 척하다’의 축약된 말은 얌체다.

관포지교(管鮑之交)의 주인공인 관중(管仲)은 나라를 버티게 하는 네 가지 덕목으로 예의염치(禮義廉恥)를 들었다. 그는 예의염치 중 하나가 없으면 나라가 기울고, 둘이 없으면 위태롭게 되고, 셋이 없으면 뒤집어 진다고 했다. 또 모두가 없으면 나라는 파멸하게 된다고 말했다.

춘추전국시대 순자는 염치없는 자는 엄히 다스려야 하며 “염치 모르는 사람은 음식만 축내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고대부터 염치는 사람의 됨됨이를 판단하는 기준이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흔히 부끄러워서 대할 낯이 없을 때 ‘얼굴과 눈이 없다’는 뜻의 “면목 없다”는 말을 쓴다. 염치와 같이 사람이 남에게 폐를 끼치게 됐을 때는 부끄러워하고 미안해하는 것은 인간으로서 기본이라는 뜻이다.

우리 정치에서 염치가 사라지고 있다. 정치는 국민을 위한 것인데 정작 국민에 대한 염치는 없고 정치인 스스로를 위한 목소리만 요란하다.

우리 사회가 염치없는 세상으로 바뀌어가는 게 하나 둘이 아니다. 정치의 영향이 크다. 의사들의 집단 휴진 선언 또한 집단이기주의에 빠진 염치없는 행태의 다름 아니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