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0년 12월부터 시작한 청도읍사무소의 더부살이가 앞으로 수년을 지속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임시 청도읍사무소에 근무하는 공직자들을 위한 환경개선이 요구된다.
지난 1977년에 준공돼 지역민에게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던 청화로 137번지 청도읍사무소는 군이 추진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위한 생활혁신센터를 위해 2021년 3월 철거됐다.
군은 청도읍 주민을 위해 청도 신기길 83-7, 구 둥지웨딩 건물 1~2층으로 청도읍사무소를 임시 이전했다.
하지만, 청도읍사무소를 비롯해 공용 지하 주차장, LH 공공임대주택(행복주택), 어울림·영상미디어·건강증진센터 등이 입주할 생활혁신센터가 착공도 못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시공을 맡았던 J건설이 자재 원가 상승 등을 이유로 사업을 포기하면서 사업부지는 임시 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생활혁신센터의 사업 주체인 LH는 직접 시공으로 가닥을 잡고 원가 상승에 따른 부담을 줄이고자 행복주택을 축소하는 등의 설계 변경안을 마련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책임부서인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요청키로 했다.
이러한 연유로 아무리 빨라도 12월쯤에야 생활혁신센터의 착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1억여 원이 넘는 임차료로 지급하며 사용하고 있는 임시 청도읍사무소는 애초의 건물이 예식장으로 설계돼 층높이는 높으나 일부만 개폐되는 프로젝트 창문 구조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기대하기 어렵다.
1억여 원의 임차료는 2025년 8월이면 다시 갱신해야 해 물가 상승의 요인으로 임차료가 상승할 가능성도 있어 지지부진한 청도혁신센터의 착공은 곧바로 청도군의 혈세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청도읍사무소 직원 27명이 근무하고 있는 1층 사무공간의 넓이는 341㎡ 정도에 근무자들은 문서고 등 부대시설과 가까운 곳은 1m 남짓에 그치며 6대의 공기청정기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있어 활기 넘치는 행정서비스 제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애초 생활혁신센터의 준공이 2023년 말로 예정돼 임시방편으로 마련된 청도읍사무소이지만 앞으로 수년간 행정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근무자들, 스스로 불평을 토로할 수 없는 공직자의 속 사정을 헤아리는 군정 추진도 필요하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