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 중 많이 걸리는 질환 중 하나가 손목터널 증후군이다. 정중신경은 목에서 나온 신경이 합쳐지고 분리되면서 나오는 가지가 팔의 오금 쪽을 지나 아래팔 가운데 부분을 타고 손바닥을 지나간다. 다시 그 가지는 엄지 검지 중지와 약지 반을 지나간다. 정중신경이 손목 손바닥 근위부에서 다양한 이유로 눌리면 증상이 생긴다.
기본적으로 손바닥 쪽에 통증이 발생하고 저리거나 시린 증상이 나타난다. 잘 때 혈액순환이 안되어 손이 아파서 깰 수도 있고 저리거나 시린 증상이 더 심해진다. 오래되면 엄지 두덩 쪽의 살이 빠지는 위축이 생길 수도 있고 손가락의 근육 위축으로 손가락 사용이 뻑뻑해지고 힘들어진다. 검사는 간단하게 할 수 있는데 손바닥 쪽 손목주름 있는 곳을 손가락으로 어느 정도 강도로 두드리면 손바닥이 저리거나 불편한 증상이 나타난다. 다른 하나는 팔렌검사라고 하는데 양 손목을 구부린 채로 서로 맞닿게 두고 1분간 기다릴 경우 정중신경의 경로에 따라 마비가 나타난다. 그리고 추나 기법을 할 때 환자를 눕힌 뒤 경추를 반대쪽으로 돌려 신경을 팽팽하게 만들고 손바닥을 지나가는 정중신경을 압박하면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은 그리 어렵지 않으며 대부분은 손을 과사용하는 직업에서 나타난다.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사무직이나 컴퓨터 관련 직종들, 미용업을 하시는 분들 식당에서 물건을 많이 나르는 일을 하는 여성들에게도 많이 생긴다. 요즘은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해서 정중신경이 압박되기도 한다.
손바닥을 지나가는 힘줄과 건초에 염증이 생겨 부으면 손바닥을 가로로 지나가는 횡 인대막에 눌려서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갱글리온이나 시스트 같은 것이 내부에서 생겨서 신경을 압박하기도 한다. 이유야 어떻든 정중신경이 압박되어 생기는 증상으로 구조적인 문제와 더불어 직업도 원인이 되어 쉽게 낫지 않는다. 심한 사람은 잠을 못잘 정도로 고통을 받는 질환으로 빨리 치료를 해야 한다.
치료는 추나 치료와 초음파로 직접 보면서 환부 근처에 바로 약침을 주사하는 방법이 가장 빠르다. 추나는 경추와 어깨 팔꿈치까지 교정을 하는 것으로 틀어져 있던 관절들이 제자리를 찾으면 정중신경의 주행경로가 정상이 되어 불편한 증상이 감소한다. 그리고 초음파로 정중신경을 직접 확인을 화면서 눌려 있는 곳에 약침을 주입해 눌려 있는 곳의 공간을 확보하고 씻어줘 눌리는 것을 줄이고 염증을 빨리 제거하면 일반 치료보다 몇 배 빨리 좋아진다. 그 외 부항과 침 치료가 같이 병행 되어야 하고 잘 때 저림이 너무 심한 사람은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는 한약을 복용하면 훨씬 빨리 치료가 된다.
사람에 따라 다르나 심하지 않은 경우는 추나와 초음파로 치료하면 5회, 10회 안쪽으로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심한 경우라도 신경손상이 없다면 10회 정도의 치료로 많이 좋아진다. 너무 오래 되면 손가락 근육의 위축이 오게 되고 신경 손상도 동반되어 치료가 오래 걸리고 심하면 손을 사용하기가 힘드니 너무 오래 방치하는 것은 좋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