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람 모으고 동네 살리고 도시를 바꾼 빌딩들

윤희정 기자
등록일 2024-04-03 18:01 게재일 2024-04-04 17면
스크랩버튼
‘도쿄를 바꾼 빌딩들’<br/>박희윤 지음·북스톤 펴냄·인문

엔데믹 이후 국가가 아닌 도시 간의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곳이 도쿄다. 지난해 11월 일본에서 가장 높은 330m 빌딩인 아자부다이 힐즈의 오픈 등으로 컴팩트 시티로 거듭나고 있다. 그들은 ‘도쿄대개조’야말로 경제불황을 타개할 최선의 해법이라고 이야기한다.

‘도쿄를 바꾼 빌딩들’(북스톤)은 도쿄에서 꼭 가봐야 할 10개 지역과 그 중심이 되는 빌딩을 통해 도쿄라는 도시의 미래와 경쟁력을 분석한다. 최근 도쿄가 달라졌다. 인구문제와 오랜 불황을 극복하지 못하며 더이상 매력적이지 않다는 평을 듣던 도쿄가 엔데믹 이후 글로벌 여행객이 가장 많이 찾는 도시 4위에 올랐다.

눈여겨볼 포인트는 단순한 여행객이 아닌 글로벌 기업을 비롯해 다양한 직군의 사람들이 도쿄를 찾는다는 것이다. 이런 변화의 중심에는 ‘콤팩트 시티’로 향하는 도쿄의 치밀한 플랜이 자리하고 있다. 일본의 수도 이미지를 바꾼 현대적 건물로 평가받는 롯폰기힐스를 설계한 부동산 개발회사 모리빌딩 최초의 한국인 직원으로 활동한 박희윤 저자는 이를 ‘도쿄대개조’라는 전략의 성과라고 이야기한다. 도쿄가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도시재생’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관점에서 도쿄에서 꼭 가봐야 할 10개의 지역(동네)과 도라노몬힐스, 긴자식스, 도쿄역 등 그 중심이 되는 빌딩에 대해 다룬다. 여기서 빌딩이란 단순한 사회에 영향력을 미치는 건설적인 빌더(builder)를 뜻하며, 그만큼 의미 있는 존재감을 품은 곳들이다.

시부야, 긴자, 롯폰기, 오모테산도, 마루노우치, 니혼바시 등 도쿄를 대표하는 지역의 진화와 매력을 담은 이 책은 도시를 발판으로 기획하는 사람들을 위한 최적의 안내서이자, 도시를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최초의 사례집이다. 도시여행자들에게도 다른 관점으로 도시를 들여다보고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해줄 것이다.

‘도쿄를 바꾼 빌딩들’에서 10개의 지역(동네)과 빌딩을 선정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시대의 흐름에 맞게 꾸준히 변화해왔는가? 그 지역 고유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성장해왔는가? 사람을 모으고 동네를 바꿀 정도로 파급력 있는 장소나 빌딩이 존재하는가? 그 장소나 빌딩을 만든 명확한 주체와 사람이 있는가? 지역의 정체성을 꾸준히 유지하며 주민과 함께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가고 있는가?

이러한 기준으로 도쿄를 들여다보고, 나누고, 묶었다. 가장 먼저 시대의 변화와 함께한 ‘제3의 도심’ 탄생을 다룬다. 도라노몬에서 아자부다이를 거쳐 롯폰기에 이르는 도쿄 중심부가 새로운 도시 모델로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 과정과 파급력을 자세히 들여다봤다. 최근 화제가 되는 힐즈 시리즈의 완성형 ‘아자부다이 힐즈’와 모리빌딩의 스토리도 여기서 다룬다. 다음으로는 에도 시대부터 도심지였던 마루노우치와 니혼바시, 그리고 상업과 브랜드의 중심인 긴자가 역사적 콘텐츠를 기반으로 어떻게 재탄생했는지 살펴봤다. 마지막으로는 오모테산도, 시부야, 후타고타마가와 등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개성 있는 동네들의 진화와 현재를 담아냈다.

각자의 정체성에 맞게 진화한 동네와 개발의 뒷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도쿄라는 ‘도시’가 어떻게 ‘글로벌 브랜드’가 됐는지를 다시금 실감하게 된다. 책을 관통하는 저자의 메시지는 일관된다. “저성장 시대는 만들면 무조건 팔리는 시대가 아니며, ‘제대로’ 만들어야 팔리고 기업이 유지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창조적인 인재와 기업, 자본이 모여야 하고, 일하고 살기 좋은 도시, 문화와 환경이라는 인프라를 갖춘 도시가 글로벌 경쟁에서 절대적으로 유리할 수밖에 없다.”

도시는 유기체와 같아서 어떻게 만들어가느냐에 따라 그 가치와 가능성이 달라진다. 도시만큼 다양한 기회와 배울거리가 존재하는 곳도 없다. 이 책은 지금 왜 우리가 도쿄라는 도시를 들여다보아야 하는지, 나아가 우리에게 맞는 도시 모델을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제안하고 있다. /윤희정기자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