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유령을 믿을 때

등록일 2023-10-24 18:41 게재일 2023-10-25 17면
스크랩버튼
환상 없는 현실은 진짜 현실이 아닐 수도 있다. /언스플래쉬

동생이 물었다. 언니는 유령을 믿어? 재밌는 말이었다. ‘유령’이라는 실체 없는 존재보다 ‘믿음’이라는 행위가 더 이질적으로 느껴졌기 때문이었다. 유령을 믿든 그렇지 않든, 그게 중요한 문제일까? 동생은 중요하다고 했다. 뭔가를 믿는 순간, 많은 것이 달라질 거라고. 스산한 기분에 몸을 바르르 떨었다. 유령은 자기 이야기를 할 때 찾아온다고 하던데. 뒷덜미가 차가워졌다. 가을을 맞아 한껏 서늘해진 바람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럴 때 생각나는 작품이 있다. 호프만의 ‘모래 사나이’다.

호프만은 독일 낭만주의의 대표적인 작가다. 그는 자신을 이렇게 표현했다. “주중에 나는 법률가이며 일요일 낮에는 적어도 음악가이다. 그리고 저녁부터 아주 깊은 밤까지 나는 아주 괴상한 작가로 산다.”

그의 말대로다. 호프만의 낮과 밤은 완전히 달랐다. 낮에는 유능한 법관으로서 현실적인 삶을 살았지만, 밤에는 광기에 사로잡힌 예술가로 지냈다. 반듯하고 공명정대했던 낮의 모습을 밤에는 찾아볼 수 없었다. 단골 술집에서 폭음하고 내일 따윈 찾아오지 않는 사람처럼 굴었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그는 그 어떤 작가보다 밤의 세계가 잘 어울리는 사람이다. ‘모래 사나이’가 수록된 소설집의 제목 역시 ‘밤의 이야기’다.

낮은 밝고 가시적이다.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며 많은 것이 분명하게 보인다. 밤은 어둡다. 많은 것이 보이지 않는다. 충동적이고 불안하다. 낯선 일이 벌어질 것만 같은 예감이다. 이렇듯 밤은 우리를 완전히 낯선 세계로 이끈다.

호프만의 작품은 이러한 기이함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그를 환상 문학의 시초로 보기도 한다. 환상 문학은 전통적인 형식의 동화와는 다르다. 환상 문학에서의 인물들은 모두 현실적인 일상생활을 한다. 그러면서 비현실적인 요소가 일상으로 과감하게 들어온다. 이러한 뒤엉킴을 통해 기이하고 이질적인 이야기가 펼쳐지게 된다.

그의 대표작인 ‘모래 사나이’는 불길하면서 충격적이다. 주인공 나타나엘은 어린 시절 어머니와 유모에게 모래 사나이에 관한 이야기를 듣는다. 모래 사나이는 “자러 가지 않으려는 아이들에게 와서 눈에 모래를 한 줌 뿌리”는 존재다. “눈알이 피투성이가 되어 튀어나오면 모래 사나이는 그 눈알을 자루에 넣어 자기 아이들에게 먹이려고 달나라로 돌아가”고, “그의 아이들은 둥지에서 사는데 올빼미처럼 끝이 구부러진 부리로 말 안 듣는 아이들의 눈을 쪼아 먹는”다. 어린 나타나엘은 모래 사나이를 목격한다. 기억 저변에 묻어두었던 모래 사나이는 그가 어른이 되어서 다시금 등장하게 된다.

나타나엘은 괴로워한다. “무언가 끔찍한 것이 내 삶에 들어왔다”다는 것이다. 그런 나타나엘에게 찾아온 청우계 장수는 ‘눈’을 판다며 안경과 망원경을 내어놓는다. 그에게 구입한 망원경은 나타나엘의 눈을 홀린다. 그리하여 인형을 진정한 영혼을 가진 아름다운 여인으로, 자신을 믿고 도와주는 연인은 생명 없는 나무 인형으로 보게 된다. 사물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 필요한 망원경은 오히려 그의 판단력을 완전히 사라지게 만드는 장치로 작동한다. 광기에 사로잡힌 나타나엘은 찢어지는 듯한 목소리로 “아름다운 눈!”이라고 소리친 채 난간 너머로 뛴다. 머리가 완전히 부서진 주인공과 모래 사나이로 대변되는 인물이 서로 겹치면서 소설은 끝난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그가 겪은 일은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어디까지가 환상일까? 독자들로선 알 수 없다. 작품 내에서 현실세계와 환상세계가 경계 없이 만나고 있기 때문이다. 작품에서 진실이라고 믿을 수 있는 건 없지만, 작가는 우리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발화하고 있다. 억눌린 무의식의 발현, 한 인간을 줄기차게 따라다니는 두려움, 우리가 실제라고 믿는 것을 정말 확신할 수 있는지를.

그렇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를 이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믿는 건 오만에 가까울지도 모른다. 꿈과 현실은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며 세계를 지탱하고 있으니까. 작품의 주인공은 환상 때문에 현실이 무너지게 된다. 그러나 환상 없는 현실은 진짜 현실이 아닐지도 모른다. 그리하여 우리에겐 현실과 환상, 낮과 밤이 모두 필요하다.

깊어져 가는 가을밤, 나는 유령을 믿는 사람들에 관해 생각한다. 으스스하지만 왠지 모르게 즐겁다. 남들이 볼 수 없는 것을 보는 사람들, 보이지 않는 것을 믿는 사람들. 그들의 이야기를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긴 밤이 지루하지 않다. 눈을 감으면 어둠 속에서 뭔가가 움직이는 것 같다. 어쩌면 나는 유령을 믿는 사람일지도 모르겠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