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떡 봉지를 펼쳤다. 친정엄마 제사라며 떡을 주문하고, 전 부칠 재료들을 챙겨 큰오빠네 갔던 그녀다. 다음 제사에는 식판을 사가야겠다고 한다. 제사에 식판이라고? 그녀는 또 뜬금없이 효도는 셀프, 그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며 고개를 흔들었다.
오빠 넷에 세 명의 언니를 둔 그녀가 친정제사 음식을 도맡아야 하는 입장이 되었다. 멀리서 직장 다닌다는 핑계로 조카들이 제삿날에 옥수수 알맹이 빠지듯이 한 것은 벌써 몇 해 전부터의 일이다. 큰오빠가 부모 제사는 자식의 몫이니 앞으로 아랫대는 참석하지 않아도 된다고 선포한 것이 코로나가 시작되던 해였다.
시부모님 따라 간 넷째 올케를 빼고도 며느리가 셋이 있지만 제사음식을 준비할 여력이 되지 않았다. 간병 일을 하는 첫째 올케가 부득이한 사정으로 집에 올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평소에 잘 오던 둘째마저 직장에 비상이 걸렸다고 한다. 셋째까지 가게 일에 매여 꼼짝을 못한다고 하니 변명 한마디 못하고 작은 언니와 둘이 제사를 맡게 되었다. 그래, 올케들이 머리 허연 오빠들 건사해 주는 것만으로도 감사한 일이지. 그녀는 팔을 걷어붙였다.
다행히 언니와 손발이 잘 맞아 전 부치고 나물 장만하고 고기까지 익히는데 한나절에 끝났다. 추석이 코앞이라 벌초 길에 나섰다. 부모님은 집터를 큰오빠에게 물려주고 당신은 뒷산에 터를 잡아, 가는 길은 멀지 않다. 일찍 제물 준비를 마친 그녀는 장화를 찾아 신고 오빠들을 따라나섰다.
뒷짐 진 큰오빠를 선두로 엄마에게 간다. 연년생인 셋째와 넷째오빠는 아직도 토닥거리고, 그녀는 그런 오빠들에게 어릴 때 불렀던 별명을 크게 불러본다. 그녀는 뱀이라는 넷째의 장난소리에 장화가 벗겨지도록 엄마를 부르며 뛰었다. 마을이 한 눈에 든다. 올케들 눈치 안보고 어리광 부릴 수 있는 이 순간이 큰오빠가 장가가기 전의 나이로 되돌아 간 것 같다. 타성(他姓)없이 오롯이 형제들만 모이는 것도 참 새롭다. 그녀는 올케랑 조카며느리한테 기대지 말고 우리 부모 우리가 모시자며 의기양양했다.
늦은 밤 제사를 모시고, 거실 가운데 음복 상 앞에 모여들었다. 그녀는 상을 차리느라 오빠들의 비빔밥 그릇이 빌 때까지 앉지를 못했다. 과일까지 깎아내고는 막 자리에 앉는데 넷째가 빈 전접시를 내밀었다. 전을 다시 담아 내놓고는 자리에 앉았다. 밥숟가락이 입에 들어가기도 전에 탕국을 좋아하는 셋째가 빈 그릇을 들고 불렀다. 삐걱거리는 무릎을 곧추세우며 바닥에 손을 짚고 일어서는 일이 여간 곤욕이 아니다. 여기서도 ‘숙아’ 저기서도 ‘숙아’ 부르는 터에 기어코 터지고 말았다.
“셀프!, 셀프! 내 나이도 낼 모레 환갑이라고, 옛날 숙이 아니라고요.”
막내가 환갑이라고? 모두가 머쓱한 얼굴이다.
칠순이 넘은 둘째오빠가 시부저기 일어나 떡을 접시에 담았다. 떡 접시를 상 위에 놓으며 말했다.
“그래, 평소 집에서 하는 행동들을 여기서 하면 안 되지. 우리 막내도 이제 나이가 있는데. 요새는 그렇다는구먼. 효도도 셀프고 밥 먹는 것도 셀프시대라고. 내 밥은 내가 찾아 먹어야 한단 말이지”
오빠가 끙 소리를 내며 자리에 앉았다. 눈치를 살피던 뺀질이 오빠가 앞으로는 뷔페식으로 하자는 제안을 했다. 먹고 싶은 거 자기가 알아서 챙기면 환갑이 다 되어가는 막내도 힘들지 않을 거라는 말에 웃음보가 터졌다.
다음 제삿장 볼 때 꼭 식판도 사야한다는 그녀의 말 뒤로, 예전 엄마가 차려주었던 밥상이 떠오른다.
엄마는 자식들 입에 밥 들어가는 게 가장 보기 좋다고 했는데. 늦었다고 빈 입으로 나가는 나를 대문까지 따라와 입에 넣어주었는데. 엄마는 그 많은 도시락을 챙기면서도 힘들다고 하지 않았는데. 우리는 1년에 한 번, 엄마 제사상 차리는 것도 힘들다. 친구가 내민 떡이 가슴에 먼저 얹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