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콤달콤을 맛별로 많이 사서 하나씩 까먹을 때나, 커다란 토마토를 2~3개씩 잘라 설탕을 잔뜩 뿌려 먹을 때 나는 입버릇처럼 이건 어른의 특권이라 말하곤 한다. 어릴 때 부모님에게 혼날까 싶어 쉽게 할 수 없었던 아주 사소한 몇 가지의 행동이 있는데, 예를 들자면 카레에 고기만 쏙쏙 빼먹는다거나 밥 대신 빵이나 과자로 대체하는 것 등, 작은 일탈을 벌이고 나서 이건 어른의 특권이라며 우스갯소리로 웃어 보이는 것이다.
최근 여러 곳에서 여러 사람을 만나며 정말 다양한 인간상이 있고, 인간이 타인을 이해하는 데에는 정말 많은 노력과 관심이 필요한 것임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사람들은 각자 자신만의 매너를 갖추고 있으나 가끔 무례한 사람들 사이에서 불쾌한 일을 겪을 때, 나는 과연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또 성숙한 어른이란 과연 어떤 자세를 지니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 깊게 고민해 보게 된다.
내가 생각하는 어른은 작은 일에 마음 쓰지 않고 대수롭지 않게 넘길 수 있는 수용의 자세와 넉넉한 마음의 크기를 지닌 자다. 작은 것 하나에도 손해 보기 싫어하거나, 아주 사소한 말싸움이어도 절대 지기 싫어 부정적인 언어를 더 보태는 습관은 스스로 좁아지는 마음을 택하는 것이다.
만약 무례를 범하는 사람을 만났다고 해서 그들과 똑같이 무분별하게 타인을 비방하기 보단, 그들의 잘못된 점을 바로잡고 옳은 방향으로 설득시키는 우아한 매너를 갖추는 사람이 근사한 어른이 생각한다.
두 번 째는 이해할 수 없는 요소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다. 스스로 모든 걸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상대방의 인격을 존중하고 헤아리는 자다. 만약 어린 날의 나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자신의 삶에 근거한 경험과 통계로 함부로 타인의 삶을 조언하고 참견하지 않아야 한다. 네 나이 땐 다 그래 라는 말로 상대의 힘듦을 함부로 속단하여 무책임하게 무마하려 하지 않고, 상대를 있는 그대로 포용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사람이 충분히 멋진 어른이라 생각한다.
세상은 다양한 삶의 방식이 존재한다. 모두 다른 삶 속에서 불명확하고 불안정하게 살아가기 때문에 살아가는 내내 마음가짐은 서툴고 불안할 수밖에 없다. 좋은 어른이 되기란 쉽지 않기에 정확히 어떤 어른이 되고 싶은지, 그러한 태도를 지니기 위해선 과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태도를 갖추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공을 필요로 한다.
요즘 나는 어떤 어른이 되고 싶은지 고민될 때마다 책상에 앉아 글을 쓰기 시작한다. 글쓰기는 머릿속에서만 떠다니던 수많은 말들이 정리되고 정제되어 불필요한 말을 충분히 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안이나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주어지기 때문에 침착하게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나는 여태 단 하나의 진실된 문장을 표현하는 것이 글쓰기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내가 추구하는 글쓰기의 본질은 하고 싶은 말이 아닌, 진짜 하고 싶은 말을 덜고 덜어내어 맨 마지막에 남는 문장을 써야 하는 것임을 깨달았다.
그간 생선을 먹기 위해 젓가락으로 생선살을 발라낼 생각만 했으나, 정작 생선살을 모두 바르고 나서 가시만 남은 상태가 진짜 쓰고 싶었던 글의 이야기였다고 해야 할까. 단단하고 날카롭게 존재를 번뜩이고 있는 가시가 글이 될 것이고, 글을 쓰는 내내 조금 더 타인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어른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가능성을 조심스레 믿어보는 것이다.
최근 이사를 앞두고 있다. 4년간 살던 집에서 떠나 새로운 집으로 거처를 옮긴다. 이곳에서의 살림이 미처 정리되지 못했지만, 가만히 눈을 감고 새로운 방에서의 삶을 그려 본다. 하루 전 멈춘 시계의 건전지를 갈아 새로운 벽에 걸 테고 7월로 넘긴 달력도 눈에 잘 보이는 곳에 걸어둘 것이다.
그리고선 흰 책상에 앉아 두툼한 생선살이 아닌 뾰족하게 자리한 생선의 가시를 오래토록 볼 것이다. 7월엔 더 나은 어른이 되어야겠다는 다짐과 함께 작고 하얀 방을 명쾌해진 기분으로 그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