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전통문화와 흥행은 함께할 수 없을까

심한식 기자
등록일 2023-06-27 18:14 게재일 2023-06-28 10면
스크랩버튼
심한식 경북부
심한식 경북부

지난 22일부터 24일 경산시 자인 계정 숲 일원에서 ‘2023 경산자인단오제’가 개최되어 지역민과 방문객들에게 전통문화를 알렸지만, 전통문화 행사는 흥행에 성공할 수 없다는 공식을 확인하는 것 같아 슬펐다.

자인면 일대에서 단오에 왜적을 물리친 한 장군 오누이를 추모하는 자인단오굿의 하나인 ‘한 장군놀이’가 1969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받은 것을 계기로 1973년 중요무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되고 2007년 지금의 경산자인단오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경산자인단오제는 축제가 아닌 문화재청이 후원하는 전통문화제로 오랜 기간 행해졌던 제례 의식과 충의 정신, 다채로운 민속놀이로 독특한 장르의 예술성을 엿볼 수 있는 행사였다. 하지만, 전통을 중요시하며 옛 자인단오제를 기억하는 어르신들이 줄어들고 각종 오락프로그램과 강한 비트를 즐기는 젊은 층의 기호를 따라가지 못하며 흥행에는 실패하기를 반복하고 있다.

시와 경산자인단오제보존회는 이를 해결하고자 젊은 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다.

그럼에도 이번 경산자인단오제에서도 단오제의 주축을 이루는 여원무와 계정 들소리, 초청된 강릉농악(국가무형문화재) 등의 전통문화 공연을 즐기는 관람객의 수는 서글픔을 자아낼 만큼이나 적었다.

마지막 날 젊은 층을 위해 마련한 ‘살판, 놀 판, 즐길 판’은 가면 파티와 DJ 놀이마당으로 참가 젊은 층에 경산자인단오제를 알리기는 했으나 전통문화를 계승한다는 경산자인단오제의 참뜻에서는 궤도를 이탈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하나 아쉬운 점은 주최 측이 정말로 전통문화 알리기에 전념하고 있는가를 의심할 수 있는 장면들이 곳곳에서 목격되었기 때문이다.

22일의 자인팔광대의 공연은 분명 개막식이 주가 아니고 전통문화 공연의 시연이 목적이 되어야 함에도 개막식을 이유로 잔디광장이 아닌 무대에서 공연돼 흥미를 반감시켰다.

또 프로그램에는 9가지의 세계민속놀이를 체험할 수 있다고 표기되었으나 현장에서는 5가지의 체험장만 운용되고 행사를 지원하는 부스의 운영자들도 적극적인 의지보다는 행사의 구색 맞추기로 보였다.

전통문화로 여러 세대가 함께 즐기며 어울리는 것을 요구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주어진 여건을 최대한 활용하고 최선을 다한 후에 전통문화의 흥행을 기대하는 것이 순서가 아닐까 한다.

shs1127@kbmaeil.com

기자수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